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구은행, 시중은행 전환 인가…32년 만에 새 시중은행
금융위 “은행산업 전반의 경쟁촉진 예상”
당국 ‘내부통제체계의 적정성’ 중점 심사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이 전국구 시중은행 ‘IM뱅크(아임뱅크)’로 전환한다.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전환된 최초 사례로, 새 시중은행 탄생은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이다. 이로써 대구은행은 신한·우리·하나·한국씨티·KB국민·SC제일은행에 이은 7번째 시중은행이 됐다.

대구은행, 시중은행으로 전환 인가…1992년 평화은행 인가 이후 32년만

금융위원회는 16일 제9차 정례회의를 열고 대구·경북권 중심의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얼 은행산업의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고, 이에 따라 대구은행은 지방은행 중 최초로 은행법 제8조의 은행업 인가규정에 근거해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인가내용을 변경하는 은행업 본인가를 금융위에 신청했다.

금융위 및 금융감독원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외부평가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자본금(자금조달방안) 요건 ▷대주주(주주구성 계획) 요건 ▷사업계획(내부통제체계 적정성 등)의 타당성 요건 ▷임원 요건 ▷인력·영업시설·전산설비 요건 등에 대해 면밀이 검토했다는 설명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번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으로 새롭게 진출하는 영업구역 중심으로 은행간 경쟁이 촉진되고, 이에 따른 소비자 후생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시중은행이 된 대구은행은 수도권 및 충청·강원 등에 향후 3년간 영업점 14개 등을 신설할 계획이다. 또 자체 비대면채널(App) 고도화, 외부플랫폼과 제휴 확대 등을 통해 고객 접근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여 낮은 금리의 다양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지방은행으로서 축적한 ‘관계형 금융’ 노하우를 기반으로 여신규모도 확대한다. 특히 중신용 중소기업 및 개인사업자에 대한 기업여신을 확대할 계획이다.

단 본점은 여전히 지방에 둔다. 금융위는 “본점은 대구광역시에 둘 것을 부대조건으로 부과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시중은행 전환 이후에도 대구·경북권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증권계좌 임의개설 사고…금융위 “내부통제체계 적정성에 중점”

금융위는 이번 대구은행 인가 심사과정에서 특히 내부통제체계의 적정성에 중점을 두고 심사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구은행 임직원은 지난 2021년 8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고객 동의 없이 무단으로 증권계좌를 개설한 사실로 ‘업무 일부정지 3개월’ 등 중징계를 받았다.

이에 대구은행은 문제가 됐던 증권계좌 임의개설 사고에 대해 ▷증권계좌 연계예금 개설시 알림톡 발송 등 고객통지 강화 ▷신분증 진위확인 및 계좌비밀번호 입력단계 추가 ▷자점감사 확대 등 맞춤형 대응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공동으로 마련한 ‘국내은행 내부통제 혁신방안’ 대해서는 금융사고 및 시중은행 전환 등을 고려해 국내 은행 중 가장 빠르게 이행(21개 과제 중 19개 이행)중이라는 설명이다. 전반적인 준법감시 역량 강화를 위해 사고예방조치 세부 운영기준 마련, 상시감시 확대·체계화 등 준법감시체계를 개편했다고 한다.

아울러 대구은행 주요 경영진은 전사적인 쇄신과 금융사고 방지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내용의 확약서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 제도 개선사항이 실효성 있게 작동되고 일선 현장까지 준법경영 문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인가 이후 내부통제 개선사항 관련 이행실태를 주기적으로 금융당국에 보고토록 하는 인가 부대조건을 부과했다”며 “금융당국은 보고내용의 적정성을 점검해 필요시 보완·개선 등의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