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역특화 늘봄, 통합학교 추진…‘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 31곳 지정
이주호 “지역소멸, 저출산 위기 극복하겠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연합]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에 대한 31개 지역 지정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은 교육정책과 지역정책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발전특구위원회 지정평가와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선정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9일까지 1차 공모에 참여한 40곳 중 31곳(6개 광역지자체 및 43개 기초지자체)이 지정됐다. 나머지 9곳은 예비지정 지역으로 분류됐다.

[교육부 제공]

정부가 추진하는 ‘지방시대’ 정책의 일환인 교육발전특구란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등이 등이 협력해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교육혁신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제도다. 지방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유아부터 대학교육까지 연계해 공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취지다.

이번 시범지역들에는 1유형(기초지자체) 20건, 2유형(광역지자체) 6건, 3유형(광역지자체가 지정하는 기초지자체) 5건이 각각 선정됐다. 1유형에는 인천(강화), 경기(고양, 양주, 동두천), 강원(춘천, 원주, 화천), 충북(충주, 제천, 옥천, 진천-음성, 괴산), 충남(서산), 경북(포항, 구미, 상주, 칠곡, 울진, 봉화), 전남(광약)이 지정됐다.

[교육부 제공]
[교육부 제공]

지역별 주요 추진 내용을 보면 마을 돌봄체계인 ‘늘봄마을’을 추진하는 괴산, 지역이 함께 보육하는 광주형 늘봄학교를 계획한 광주 등 거점형 늘봄운영 모델을 개발한 지역 및 국방산업 수요 연계형 자율학교 전환을 꾸리는 화천 등 자율형 공립고 모델을 제시한 지역 등이 뽑혔다.

이밖에 2유형은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제주가 선정됐으며 3유형에는 충남(아산), 경북(안동-예천), 경남(진주, 사천, 고성, 창원, 김해, 양산, 거제, 밀양), 전북(익산, 남원, 완주, 무주, 부안), 전남(나주, 목포, 무안, 신안, 영암, 강진) 등이 선정됐다.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는 시범지역 우수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성과관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범지역을 선도지역과 관리지역으로 구분해 운영한다. 선도지역은 3년의 시범운영기간 이후 교육발전특구위원회 종합평가를 거쳐 교육발전특구로 정식 지정된다. 관리지역은 매년 연차평가를 통해 보다 강화된 성과관리와 지원을 받는다.

이번에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각 지역은 교육부 및 지방시대위원회 및 정책전문가와 세부 계획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이들 지역에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을 지원하는 한편 각 지역에 요청한 규제를 해소하는 등 지원할 계획이다. 또 연내 교육발전특구 지정·운영을 위한 특별법을 마련키로 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지방에서부터 교육혁명이 시작될 것”이라며 “지역의 교육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지역소멸과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서 나아가 세계를 선도할 제2의 한국교육의 기적을 일궈내는 기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은 “지방 주도 교육 혁신으로 지역인재 양성·정주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발전특구를 지방시대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다”며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 공교육 혁신을 통한 학교 교육력 제고, 지역인재 양성 등 지방에 살기 좋은 정주 여건이 마련돼 지방시대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k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