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궁전같은 아름다운 사람’ 남궁원...영화와 가족이 그의 인생의 전부
61년간 영화 외길 인생 걸어
‘가족이 모든 것의 기본’ 철학
5일 별세한 원로배우이자 전 헤럴드 명예회장 남궁원(오른쪽) 씨는 생전에 영화인의 외길을 걸었으며 가족에 대한 헌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사진은 18대 총선 서울 노원병 지역에 출마한 아들 홍정욱(전 헤럴드 회장·왼쪽) 의원과 선거사무실에서 당선을 확인한 뒤 함께 축하 케이크 촛불을 끄고 있는 모습 [연합]

5일 별세한 영화배우 남궁원의 인생 축은 크게 영화와 가족 두 가지였다. 61년간의 영화 외길 인생을 걸어왔고, 책임감 있는 가장으로 가족을 돌봤다.

1958년 영화 ‘그 밤이 다시 오면’으로 데뷔해 314편의 영화에 출연한 고인은 한평생 영화인으로서 영화에 전념했다. 철저한 자기관리로 많은 후배들의 롤모델이 되기도 됐다. 그렇게 해서 지난 60여년간 영화계에 큰 발자취를 남길 수 있었다.

유명인이 되고 나서 정치권으로부터 숱한 러브콜을 모두 거절한 것은 물론 TV도 2011년 SBS 드라마 ‘여인의 향기’ 한 편에 출연한 것 외에는 더 이상 출연하지 않았다.

영화와 함께 고인의 또 다른 인생 축은 책임감 있는 가장이었다. 전성기 스타 배우가 가족 돌보기가 쉽지 않았음에도 항상 가족이 모든 것의 기본이라는 점을 잊지 않았다.

고인과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홍정욱 올가니카 회장(전 헤럴드 회장)과의 일화 등 극진한 가족 사랑은 널리 알려져 있다. 노스웨스트항공 스튜어디스로 근무하던 양춘자 씨에게 비행기에서 첫눈에 반한 고인은 결혼에 골인해 슬하에 1남(정욱) 2녀(성아·나리)를 뒀다.

아들을 유학 보내고 기러기 아빠 생활을 하던 고인은 학비를 벌기 위해 자존심도 버리고 지방의 카바레 밤무대도 마다하지 않은 일화는 유명하다. 방학 중 귀국해 우연히 길에서 밤무대 포스터에 있는 아버지를 본 홍 회장은 그 순간 느낀 아버지의 사랑을 언급하기도 했다.

고인이 유독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고 산 것은 10대 시절 경험한 한국전쟁 때문이었다. 전쟁 초기 인민군에 끌려가지 않기 위해 마루 밑에 숨어서 지내기도 했고, 퇴각하는 인민군을 피해 뒷산의 절로 피신을 했다가 가족을 잃어버릴 뻔 했던 기억은 부모에 대한 사랑과 가족의 소중함을 더욱 가슴에 새기는 계기가 됐다고 한다.

고인은 영화계에서도 항상 성실함과 노력하는 자세로 좋은 배우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는 연기력을 성장시킬 시간을 갖지 못한 채 주연 배우가 됐지만 데뷔 이후엔 항상 연기를 공부하고 메모해 연기 분석 노트를 늘 가지고 다녔다. 고인은 평소 “연기를 체계적으로 공부하지 않았다”고 말하곤 했다. 그래서 더욱 공부하는 자세로 성실하게 연기를 쌓아왔다.

고인은 미남 배우들이 주로 맡는 멋있는 역할만 맡지 않았다. 고인이 멋있는 역할만 맡았다면, 그만큼 이미지 소모가 빨라져 배우로서도 생명력이 짧았을 것이다. 하지만 남궁원은 잘 생긴 외모로 주연 배역을 따내기 보다 악역과 선역 가리지 않고 바닥부터 과정을 단계 별로 밟아 선 굵은 주연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멜로와 가족영화 뿐만 아니라 첩보, 스릴러 등 다양한 장르물에 도전해서도 존재감을 발휘했다.

고인은 실로 다양한 장르에서 주연 조연 가리지 않고 맡은 역할에 충실한 연기로 한국 영화계에서 큰 족적을 남길 수 있었다. 그의 예명 남궁원은 ‘멀리 남쪽에 있는 궁전(南宮遠)’같은 아름다운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고(故) 신상옥 감독이 지어주었다고 한다.

서병기 선임기자

w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