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도체 등 6대 국가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내리막’…“정책 지원 필요”
경총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분석’ 발표
6대 산업 비중 2018년 31.1%서 2022년 27.2%로 감소
“규제 완화 및 R&D 세제 지원 확대 등 대책 추진 필요”
부산 남구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뉴시스]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우리나라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최근 몇 년 새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이 21일 발표한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분석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이하 6대 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지난 2018년 8.4%에서 2022년 6.5%로 25.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미국(1.3%↓)과 중국(2.7%↓)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우리보다 적게 하락했고, 대만(31.8%↑)과 독일(4.6%↑)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6대 산업은 정부가 2023년 3월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에서 언급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미래차 ▷바이오 ▷로봇 분야다.

6대 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은 중국(14.1%), 독일(8.3%), 대만(8.1%), 미국(7.6%)보다 낮은 수준으로 2018년 6개국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수출시장 점유율이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우리 수출시장 점유율 순위가 독일, 대만, 미국 3개국에 역전된 것이다.

경총은 “2018년 대비 2022년 우리 6대 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크게 하락한 것은 세계 전산업 수출 규모가 23.7% 증가하고 세계 6대 산업 수출도 24.2% 증가하면서, 세계 전산업 수출 중 6대 산업 수출 비중이 오히려 0.6% 상승(11.58%→ 11.65%)했음에도, 우리 6대 산업 수출은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6대 산업 중 수출 규모가 가장 큰 반도체는 같은 기간 수출시장 점유율이 13.0%에서 9.4%로 32.5%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디스플레이 수출시장 점유율은 9.9%에서 10.3%로 4.8% 상승해 산업별로 대조를 이뤘다. 나머지 4개 산업 가운데 3개 산업(이차전지 50.9%↓, 미래차 3.2%↓, 로봇 49.6%↓)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하락, 바이오(12.2%↑)는 상승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각국의 강력한 지원 속에 글로벌 기술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를 비롯한 우리 첨단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약화되고 있다”며 “최근 정부가 발표한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 혁신인재 양성 등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규제 완화, 세제지원 확대 등 첨단산업 경쟁력과 국가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보다 전향적인 대책들이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6대 산업 수출액은 총 1860억달러로 2018년(1884억달러) 대비 1.2% 줄었다. 우리 전산업 수출에서 6대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31.1%(2018년)에서 27.2%(2022년)로 하락했다. 다만, 주요 6개국(한국,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대만) 가운데 대만(48.1%) 다음으로 높아, 6대 산업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경쟁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