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코프로, 직원 10명 중 9명 非서울·수도권…“지역 인재 고용 앞장”
“고용 증가,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 소멸 방지”
지방 주소지 둔 직원 비중 89.7%
지방대·지방 소재 고교 출신 전체 85.3%
에코프로 본사. [에코프로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에코프로 임직원 10명 가운데 9명은 서울 및 수도권이 아닌 지방 출신으로 나타났다.

에코프로는 지난해 말 현재 에코프로 직원 3362명 가운데 지방에 주소지를 둔 직원의 수는 총 3017명(89.7%)이며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출신 직원은 345명(10.3%)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출신대학과 고등학교별로 살펴보면 지방대와 지방 소재 고등학교를 졸업한 직원은 총 2867명으로 전체의 85.3%에 이른다. 가족사별로 지방 출신 인력 비중은 에코프로씨엔지 97.4%, 에코프로머티리얼즈 96.1%, 에코프로이엠 94.8%, 에코프로이노베이션 94.7%, 에코프로비엠 92.5% 등이다.

시가총액 30위 내 기업 가운데 지역인재 비율이 90%에 달하는 기업은 에코프로가 유일하다.

에코프로는 1998년 회사 설립 이후 서울 수도권이 아닌 충북 오창을 사업 본거지로 삼아 지역 인재를 고용하며 성장해 왔다. 이동채 전 에코프로 회장은 충북 오창 산업단지 1300평을 매입해 생산 거점으로 삼았다. 오창에 근무하는 에코프로 인력은 약 1200명가량으로 충청지역 대학과 고등학교 출신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에코프로그룹 임직원 주소지 현황 그래프. [에코프로 제공]

에코프로는 오창에 지금까지 1조원이 넘는 자금을 오창에 투자했다. 경북 포항에는 2017년부터 2조원가량을 투자해 이차전지 생태계인 ‘클로즈드 루프 에코 시스템’을 구축하며 성장 동력으로 삼았다.

포항 생산라인 구축 5년 만인 2023년 고용인력이 2100명으로 늘었는데 95%가량이 지방대 및 지역 고등학교 출신 인력이다.

이들 지역 인재들이 현재 양극재 15만t(톤), 전구체 5만t, 리튬 1만3000t을 포항에서 연간 생산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2025년까지 2조5000억 원을 추가 투자해 제2포항캠퍼스를 조성할 방침이다.

에코프로는 고용 증가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에코프로 본사가 들어선 충북 지역에서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상용근로자 수는 2020년 45만8900명에서 지난해 50만5800명으로 증가했다. 포항캠퍼스가 위치한 경북의 상용근로자 수는 2020년 63만8400명 지난해 65만500명으로 증가했다.

에코프로 임직원들의 소득 수준도 회사가 성장하면서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코프로 그룹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2020년 고용인력이 930명, 1인당 평균급여가 5400만 원이었는데 2021년에는 1151명 고용에 6600만 원, 2022년에는 1314명 고용에 7900만 원으로 평균급여가 증가했다.

에코프로그룹 임직원 지역 소재 출신 학교 비율 그래프. [에코프로 제공]

에코프로는 지역의 문화 예술 교육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동채 전 에코프로 회장 등 특수관계인들은 올해 공익재단을 설립해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문화 예술 교육 인프라를 지원할 방침이다.

에코프로그룹의 벤처캐피털(VC) 에코프로파트너스를 통해 지역 소재의 벤처 기업에 투자하며 ‘제2의 에코프로’ 발굴에도 힘쓰고 있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이동채 전 회장은 에코프로가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해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한 만큼 지방 인구 감소와 소멸화를 방지하기 위해 기업인으로서의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며 “지역 일자리가 늘어나기 위해서는 지역 문화 예술 교육 인프라가 잘 갖춰져야 한다는 게 이동채 회장의 기업인으로서 소명의식”이라고 말했다.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