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호선 연장 검단 2개역 지난다…대광위 조정안 나왔다 [부동산360]
정거장 김포 관내 7개, 인천 관내 2개 제시
검단·김포한강2 광역교통개선대책비 분담
건폐장 조성 지자체 양측 공동 책임하 추진
서울지하철 5호선.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김포시 장기동으로 연장되는 지하철 5호선 연장안이 인천 검단신도시에 2개역이 정차하는 내용으로 조정안이 마련됐다. 인천과 김포 경계 지역 정거장 위치가 기존 인천 불로동에서 김포 감정동으로 변경되고 건설폐기물처리장 조성에 대해서도 김포와 인천 양측이 공동 책임하에 추진된다. 다만 이는 지자체 합의안이 아닌 대광위의 조정안이어서 검단 4개역 설치를 통한 U자형 노선을 주장해왔던 인천의 반발이 거센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인천시와 김포시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5호선 연장안 결정과 관련해 이같은 조정안을 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당초 대광위는 지난해 8월 5호선 연장안 발표를 예고했지만 지자체 이견으로 무산됐다. 이어 연말까지 연장안을 확정짓겠다고 공언했지만 결국 해를 넘긴 바 있다.

이날 발표한 조정안은 지난해 9월부터 전문가·지자체 합동회의, 전문가 현장방문, 전문가 태스크포스(TF) 운영, 각 지자체와의 개별 협의 등을 통해 마련한 방안이라고 대광위는 설명했다.

[대광위 제공]

대광위는 이날 검단신도시 경유역은 2개로, 그리고 인천과 김포 경계 지역에 있는 인천 불로 대곡동 정거장을 김포 감정동으로 조정하는 노선을 제안했다. 앞서 김포는 연장안으로 김포 관내 정거장 6개, 인천 관내 2개를, 인천은 김포 관내 6개, 인천 관내 4개를 주장해왔다. 조정안대로라면 김포 관내 7개, 인천 관내 2개가 되는 셈이다.

노선과 관련해서 높은 이용 수요, 현재·장래 철도망 계획 및 연계성(환승) 고려, 합리적 경제성을 원칙으로 조정했다는 게 대광위의 입장이다. 대광위는 김포·인천안보다 조정안의 비용대비편익(B/C)이 높고 이용수요 측면에서 가장 우월하다고 강조했다. B/C가 김포안은 0.88, 인천안은 0.84인데 조정안은 0.89로 추산됐고, 이용수요도 김포안은 10만6250명/일, 인천안은 11만654명/일인데 조정안은 11만4807명/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기존 불로역이 감정역으로 조정돼 김포 정차역이 늘어나고 검단 정차역은 김포가 요구한대로 2개역으로 조정되면서 인천의 반발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 간 평행선이 좁혀지지 않아 조정안 발표에도 사업 지연은 지속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대광위는 노선 조정 외에도 사업비 분담 방안도 조정안에 담았다. 각 지역에 소요되는 사업비의 비율만큼 검단신도시와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에서 조성되는 광역교통개선대책비에서 분담토록 했다.

아울러 건폐장 조성에 대해서도 김포와 인천 공동 책임 하에 추진하는 것을 제안했다. 지난 2022년 11월 서울시, 김포시 등이 방화차량기지와 건폐장을 김포에 이전하기로 협약을 맺은 것을 고려해 부지 제공 등 역할을 분담하되 건설비 부담액 상한 및 분담 비율 등은 인천과 지자체 간 별도 협의를 거쳐 확정짓도록 했다.

대광위는 조정안에 대해 다음달까지 지자체 주관 지역주민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친다는 계획이다. 도시 밀집도, 철도 수혜지역 확대, 정거장 간 거리 등을 고려해 추가 정거장 신설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올해 5월 5호선 연장 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조정안에 대해 두 지자체의 대승적인 수용을 기대하며 이어지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도 두 지자체가 적극 협력해 5호선 이용이 앞당겨지길 바란다”며 “추가 정거장 신설 등 지역의 요구에 대해서는 기술 검토 등이 완료되는 대로 지자체·전문가 등과 반영 필요성을 논의해 지역 상생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hwshi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