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금보유량 세계순위 36위...4단계 떨어져
10년째 매입않고 104.4t 유지
매입계획 없어 추가하락 가능

최근 주요국이 금 매입을 늘리면서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 순위가 세계 32위에서 36위로 네 단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을 마지막으로 10년 동안 금을 추가로 사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19일 세계금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해 말 기준 104.4t의 금을 보유해 전 세계 중앙은행 중 36위를 차지했다.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1.7%에 불과하다. 한은은 2011년 40t, 2012년 30t, 2013년 20t의 금을 추가로 매입한 뒤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총량을 104.4t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에 한은의 금 보유량 순위 또한 2013년 말 세계 32위에서 2018년 말 33위로 내려왔다. 이어 2021년 말 34위, 2022년 말 36위로 더 하락했다.

한은은 향후 금 매입 계획도 없어 이 순위는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은 외자운용원 관계자는 “자산 배분 차원에서 현재 금 매입을 고려하지 않는다”면서 “금 보유량이 적다고 해서 생기는 문제는 특별히 없다”고 했다. 이어 “금은 무수익 자산”이라며 “미국 국채 대비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각국 금 보유량을 살펴보면 지난해 말 기준 미국이 8133.5t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독일(3352.6t), 이탈리아(2451.8t), 프랑스(2436.9t), 러시아(2332.7t) 등 순이다.

중국의 금 보유량은 2226.4t으로, 세계 6위다. 지난해 한 해 동안에만 215.9t의 금을 더 사들이면서 러시아 뒤를 바짝 쫓았다.

이는 최근 미중 갈등 심화에 따라 진영 간 대립이 심화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잇따른 무역 제재에 중국이 미국 국채를 팔고 금을 사들인다는 것이다.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접한 폴란드도 지난해 130.0t의 금을 매입해 순위가 23위에서 단숨에 15위로 훌쩍 뛴 것도 주목된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지정학적 변동과 국가별 금 보유량 증감을 연결 짓는 것도 일리 있는 해석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문혜현 기자

moo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