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우주전담기관 지각 출범, 우주산업화는 선발주자돼야

‘한국판 나사(NASA·미국 항공우주국)’ 우주항공청이 올해 5월 출범하기 위한 파이널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여야 간 이견으로 9개월간 표류하던 우주항공청 특별법안이 마침내 국회 문턱을 넘어선 것이다.

이제까지의 우주개발은 연구개발(R&D) 예산과 연구 현장의 노력만으로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산업·국방·외교·안보·과학기술·인력 등의 분야를 망라한 체계적인 국가전략 없이는 불가능하다. 바야흐로 우주안보, 우주경제 시대를 맞아 산·학·연 역량을 결집하고 더 큰 목표를 향해 일사불란하게 달려갈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수적인 것이다. 우주항공청 설치가 가시화되면서 우리도 이제 정부와 민간이 원팀이 돼 우주 시대를 본격적으로 개척해 나갈 발판을 갖게 됐다.

세계 주요국들은 우주전담기관 중심으로 우주 개발은 물론 민간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지 오래다. 주요 20국(G20) 중 우주전담기구가 없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했다. 인도와 중국은 각각 인도우주연구소(ISRO)와 중국국가항천국(CNSA)을 통해 달 착륙에 성공했고,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이번 달 세계 5번째 달 착륙 국가에 도전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5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위성과 발사체 기술을 동시에 가진 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 하지만 전세계 우주 시장에서 한국은 기술력과 비중 면에서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서너 걸음 뒤처져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런 만큼 우주항공청 설치를 계기로 핵심 경쟁력 확보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이다.

항공우주청이 미국의 스페이스X 같은 걸출한 민간 우주기업 육성의 마중물이 되려면 우수 인재 확보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파격적인 연봉을 허용하는 등 공무원법과 관계없이 조직을 유연하게 운영하도록 한 것은 바람직하다. 지난 2021년 세계 5번째로 화성 탐사선 발사에 성공한 UAE는 초대 우주항공청장으로 30대 여성 과학자를 임명하면서 다른 어떤 나라보다 빠르게 우주개빌의 꿈을 실현할 수 있었다.

전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2040년 1조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우주산업이 미래 먹거리이자 인류의 마지막 블루오션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반도체를 이을 성장동력을 찾고 있는 한국 경제에 우주항공 분야는 새 희망이다. 미국 NASA에 근무하는 약 2만 연구원의 전공은 우주항공은 물론 기계, 전기, 전자 등 매우 다양하다. 한국은 전자·전기는 물론이고 우주항공의 주요 기술인 배터리와 AI 등의 기술력이 강점이다. 우리가 산업화는 뒤졌지만 IT(정보통신)시대는 앞서 간 것 처럼, 우주산업화도 선발주자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나아가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