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소·SDV로 삶의 편안함 더하다”…현대차, 정의선式 ‘미래기술 전환’ 닻 올리다 [CES2024]
CES2024서 미래비전 발표
‘한 발 앞선 기술진화’ 선언
전지 기술 넘어서 ‘수소 솔루션’ 기업 준비
SW분야는 ‘SDx’…‘사람-차-사회’ 연결 초점
현대자동차 CES 2024 주제 연출 이미지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미국 라스베이거스)=김성우 기자] “과학과 휴머니티는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현대차그룹이 꿈꾸는 모든 기술적인 진보도 인류사회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

현대차가 ‘인간이 중심이 되는 삶의 혁신’을 새 지향점으로 내세우고, 수소와 소프트웨어(SW)를 통해 이를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현대차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CES 2024 미디어데이에서 ‘수소와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 이즈 에브리 웨이(Ease every way)’를 주제로 한 미래 비전을 발표했다.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과 소프트웨어·인공지능(AI) 기반의 대전환을 통해 '인간 중심적인 삶의 혁신'을 일군다는 게 현대차의 목표다.

혁신을 통해 이동을 넘어 일생 전반의 편안함을 더하는 것을 현대차의 새로운 역할로 정의한 것이다.

이러한 현대차의 계획은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종합 솔루션과 사람과 모빌리티, 데이터, 도시를 연결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소프트웨어 혁신으로 구체화할 전망이다.

▶HTWO, 수소밸류체인 사업으로 무한 확장= 현대차그룹은 우선 수소분야에서는 기존에 ‘연료전지 브랜드’로 쓰였던 ‘HTWO’를 현대자동차그룹의 ‘수소밸류체인 사업’ 브랜드로 확장한다. 또 현대차그룹 계열사들이 갖고 있는 수소에너지 역량을 결합하면서 ▷생산 ▷저장 ▷운송 및 ▷활용까지 전 단계에서 수소기술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지난해 1만3000여t에 불과했던 연간 수소 소비량(수소 최종사용자 기준)을 2035년에는 연간 300만t 수준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다.

생산분야에서는 ‘PEM(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를 통한 친환경 수소 확보에 나서며 힘을 보탠다. PEM 수전해 수소생산은 원료로 오로지 물만을 사용하는 ‘수소 생산’ 방식이다. 기존 방식보다 비용이 1.5배 이상 비싸만 순도가 높은 양질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차그룹은 전사적인 수소생산역량 결합하면서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부품과 생산인프라를 공용화하고, 이를 통해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PEM 수전해 수소를 생산해간다는 계획이다.

생활폐기물을 활용한 수소생산에도 박차를 가한다.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W2H)과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P2H) 두 가지가 모두 활용된다.

저장과 운송, 활용분야에서도 수소에너지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 서울 광진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이동형 수소 충전소(H Moving Station)를 향후 제주도 등지로 확장하는 것도 검토한다.

해외 수소생태계도 확장해 나간다. 현대차그룹은 미국과 인도네시아 등 각국 정부가 추진중인 수소 관련 프로젝트에서 수소에너지 역량을 발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 항만에서 진행중인 ‘친환경 트럭 도입 프로젝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가 건설되고 있는 미국 조지아주의 ‘청정 물류 프로젝트’에서도 수소에너지를 활용할 방안을 검토한다.

▶모빌리티와 도시 인프라 결합, SDV 전략 대전환= 중심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기존 완성차업계에서 논의되던 SDV(소프트웨어중심차량)을 넘어선 ‘SDx(모든 것이 소프트웨어에 기반하도록)’ 중심의 소프트웨어 전략을 발표했다.

SDx의 비전은 모든 이동 솔루션 및 서비스가 자동화, 자율화되고 끊김없이 연결되는 것을 골자로 한다. SDV를 통해 이동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인공지능(AI)과 접목하면서 이를 이동 솔루션 전반으로 확장한 후, 로지스틱스, 도시 운영 체계와 연결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한 차량용 소프트웨어시장 활성화에도 발벗고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외부개발자들도 SDV용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개발키트(SDK)’를 공유하고, 자체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LLM)기반 음성 어시스턴트와 AI내비게이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차량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UX)을 구현해나가기로 했다.

향후 모빌리티 도시 인프라가 결합되는 ‘사람-디바이스-도시 연결’ 생태계 구축에도 힘쓴다. 현대차그룹은 수요응답형 셔틀과 자율주행 택시 및 호출플랫폼 등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국내 여러 도시에서 운영하고 지역을 확대해가며 ‘클라우드 트랜스포테이션’의 구현을 위한 데이터 자산을 축적하고 있다.

송창현 현대차 SDV 본부장(42dot 대표)은 “SDx의 핵심은 사용자 중심으로 구현되는 것”이라며 “세상의 모든 이동을 지식과 혁신의 원천으로 삼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모빌리티 디바이스와 솔루션을 만들어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최근 기술력 평가에서 꾸준히 상위권을 석권면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의 시장조사기관 J.D.파워가 실시한 ‘2023 미국 기술 경험 지수 조사(TXI)’에서 제네시스(656점)와 현대자동차(547점)가 캐딜락(533점), 렉서스(533점), BMW(528점) 등 유수의 완성차 브랜드를 제치고 전체 브랜드 순위 1위,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