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태영 익스포저 1조 KKR, 에코비트 주인 '시간 문제'
4000억 사모채, 선순위 주주 '쐐기'
주주 간 계약 기반 풋백옵션 등 무기한 보장
담보권 실행 여부 '주목'

[태영건설 공식 홈페이지]

[헤럴드경제=심아란·김성미 기자] 사모펀드(PEF) 운용사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채권단 공동관리절차) 사태 여파에서 벗어나 있어 눈길을 끈다.

KKR은 태영그룹 지주회사 TY홀딩스에 대한 투자금 익스포저가 1조원을 훌쩍 넘지만 안정적으로 거래 구조를 설계한 덕분에 손실 위험은 사실상 제로인 상황이다. 태영그룹 재무 정상화를 이끌 자산으로 부각되는 에코비트의 경우 KKR 품에 안기는 건 시간 문제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KR이 태영그룹에 투자하면서 TY홀딩스로부터 회수를 보장 받은원금만 8410억원이다. 여기에 공정가치와 이자 등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익스포저는 1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 KKR은 TY홀딩스의 사모채 4000억원 인수, 에코비트(옛 TSK코퍼레이션) 구주 4410억원 인수하는 과정에서 TY홀딩스로부터 투자 하방 안전장치를 보장 받았다.

에코비트는 기존 TY홀딩스와 SK·삼양그룹 3사의 합작 형태로 출범했다. 2020년 3사 합작 관계가 종료됐고 이때 KKR이 SK와 삼양 측 구주를 인수하면서 TY홀딩스와 동등 비율 주주로 올라섰다.

투자 과정에서 체결된 주주 간 계약에 따르면 TY홀딩스는 경영 환경에 문제가 생길 경우 KKR 인수 지분을 되사오는 풋백옵션, 에코비트 지분 매각 시 KKR 몫까지 함께 파는 드래그얼롱(공동매도청구권) 등을 약속했다. 해당 옵션의 만기일도 사실상 무기한으로 제공했다.

특히 풋백옵션, 드래그얼롱 등 모든 권리의 행사가격은 '공정가치'로 설정했다. 에코비트 기업가치가 높아질수록 TY홀딩스가 투자에 대한 부담을 지는 구조다.

폐기물 매립 사업 등에 특화됐던 에코비트는 KKR을 주주로 맞이한 이후 볼트온 효과를 누렸다. KKR의 포트폴리오 기업과 합병하면서 산업 폐기물로 사업 영역이 넓어졌다. 덕분에 투자 첫해인 2020년 연결기준 1500억원대였던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2022년 1960억원으로 증가했다. 현금창출력 개선 추세에 따라 에코비트의 장부가는 1조원대지만 공정가치는 3조원대 안팎으로 언급되고 있다.

지난해 TY홀딩스의 사모채 발행은 KKR이 에코비트 선순위 주주로 올라서는 단초가 됐다. TY홀딩스는 작년 초 관계사 태영건설에 유동성을 지원해주려는 목적으로 KKR 대상으로 4000억원 사모채를 발행했다. 실질적인 차주는 태영건설로 KKR에 13%에 달하는 고금리를 지불했으며 TY홀딩스는 KKR에 담보도 제공해 투자 위험을 막아줬다. 이때 제공된 담보가 바로 TY홀딩스가 보유 중인 에코비트 지분 50%다.

IB업계 관계자는 "KKR은 TY홀딩스에 재무적인 이슈가 발생할 경우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는 약정을 계약에 포함했을 개연성이 있다"며 "만약 KKR이 담보권을 실행하지 않고 기다려 준다면 TY홀딩스는 에코비트를 매각하고 그 재원을 활용해 사모채 원리금을 일시에 상환하는 시나리오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KKR이 담보권 실행을 미룰 유인이 제한적이라는 관측이 우세한다. 관련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KKR이 2020년 에코비트에 투자할 때와 비교해 현재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며 "폐기물 업체 밸류에이션도 감소하고 있어 KKR 입장에선 담보권을 실행해 에코비트를 인수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IB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초 태영건설 현금흐름이 악화된 상황에서 13%에 달하는 고금리를 감당하는 건 역부족이었고 결국 현재의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ars@heraldcorp.com
miii0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