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매년 1월초엔 라스베이거스로” 바쁜 회장님들 CES 총출동 왜? [세모금]
9~12일(현지시간) 美 라스베이거스서 CES 2024 개최
제조·중공업 CEO, 대거 참석…AI·친환경 미래비전 주력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해 1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3’에 참석, SK부스에서 직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김지윤 기자]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국내 중후장대(重厚長大) 그룹 회장들이 새해 벽두부터 CES 2024 현장에 총출동한다.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에서 최신 기술 트렌드를 직접 챙기며 미래 먹거리 발굴 등 경영 전략을 구상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히, ‘굴뚝’ 이미지를 탈피하고 AI, 친환경 신기술 등 미래 비전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복합 위기가 장기화하며 올해도 경영 환경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무엇보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복안이다.

9일(현지시간) 개막을 앞둔 올해 CES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해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등이 참석한다. 최근 몇 년 새 중후장대 기업들이 CES 무대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이들 기업 최고경영자(CEO)들도 매년 1월 라스베이거스행을 이어가는 분위기다.

최 회장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CES를 찾는다. 최 회장은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과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추형욱 SK E&S 사장,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 등 그룹의 미래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주요 계열사 CEO들과 동행한다. 이들은 주요 기업들의 전시관을 둘러보고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네트워크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SK그룹은 SK㈜,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 E&S, SK에코플랜트, SKC 등 7개 계열사가 공동 전시관을 꾸린다. 이를 통해 탄소 감축으로 기후 위기가 사라진 ‘넷제로(Net Zero)’ 세계의 청사진을 테마파크 콘셉트로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지난달 대한상의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SK의 CES) 어젠다는 크게 환경과 AI 2개”라고 제시하기도 했다.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이 지난해 1월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에서 열린 CES 2023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그룹의 비전인 ‘바다 대전환’을 소개하고 있다.[HD현대 제공]

HD현대에서는 정기선 부회장이 3년 연속 CES에 참석한다. 정 부회장은 비가전 기업 최초이자 국내 기업인 중 유일하게 올해 CES 기조연설을 맡아 주목을 받고 있다.

정 부회장은 오는 10일 기조연설에서 바다에 이어 육상 인프라로 미래비전을 확장하는 ‘사이트 트랜스포메이션(Xite Transformation·사이트 대전환)’ 전략을 전 세계에 알린다. 필립 모이어 구글 클라우드 부사장도 함께 연단에 올라 HD현대와 구글 클라우드의 협력 방안도 구체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HD현대는 지난달 구글 클라우드와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고 밝힌 상태다.

HD현대는 또, 약 990㎡ 규모의 전시관을 꾸려 첨단 무인·자동화 기술력을 활용한 차세대 건설 현장의 미래상과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현장 관제 솔루션 및 원격 제어 기술을 선보인다. 여기에 그룹의 다양한 경험과 기술 역량이 담긴 친환경 에너지 밸류체인도 공개한다.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지난해 1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3에서 LG전자 전시관을 찾아 '플러스팟'을 체험하고 있다. [연합]

구자은 LS그룹 회장도 2년 연속 CES를 찾는다. 구 회장은 명노현 ㈜LS 부회장 및 주요 계열사 최고기술책임자(CTO)들과 동행해 최신 기술 트렌드를 살피고 미래 사업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다만, LS의 경우 이번 CES에 전시관을 마련하지는 않았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박지원 부회장을 비롯해 주요 계열사 경영진과 함께 CES 현장을 방문한다. 박 회장의 CES 참석은 2020년 이후 4년 만이다. 박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AI 발전을 비롯해 자동화, 무인화, 스마트화 등 디지털기술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미래 동력 확보는 고사하고 현재 경쟁에서도 순식간에 뒤처질 수 있다”며 ‘도전·혁신·미래’를 강조키도 했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왼쪽)이 지난해 3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콘엑스포 2023’의 두산밥캣 부스에서 마이크 볼웨버 북미 지역장에게 순금으로 만든 두산일두(斗山一斗)를 전달하고 있다. [두산 제공]

두산그룹은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밥캣, 두산로보틱스 등 핵심 계열사들이 총출동해 ‘우리 지구, 우리 미래(Our Planet, Our Future)’를 주제로 780㎡ 규모 전시장을 운영한다. 이 자리에서는 원자력·수소·풍력 등 무탄소 에너지 기술과 AI 기반 무인·전기 콘셉트 장비, AI 로봇 솔루션 등을 대거 공개한다.

이밖에도 한화그룹 3세 김동선 한화로보틱스 부사장도 CES에 참석해 AI를 적용한 로봇 기술을 살펴보고 미래 먹거리 발굴에 나설 예정이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