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해 韓은 총선, 美는 대선…선거와 증시의 상관관계는? [투자360]
1987년 민주화 이후 총선 9회 중 5회 코스피 상승…대선은 8회 중 6회
2006년 이후 美 대선·중간선거 9회 중 6회 다우지수 상승
큰 선거 직후 시점 주가 하락세도 관측…“돈풀기 중단, 미뤄뒀던 리스크 현실화”
[연합]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한국의 4월 국회의원 선거에 이어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까지 한미 양국에서 굵직한 정치 이벤트가 잇따라 벌어질 갑진년(甲辰年) ‘선거의 해’가 밝았다. 특히, 지난 1987년 민주화 이후 국내 대선·총선은 물론 최근 수차례 미국에서 치러진 대선과 중간선거를 앞두고는 양국 대표 주가 지수가 높은 확률로 상승세를 보였던 것으로 나타나면서 올해 주가 흐름의 향방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는 상황이다.

코스피, 민주화 후 대선·총선 17회 중 11번 상승

3일 헤럴드경제는 한국거래소(KRX) 정보데이터시스템을 통해 지난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치러진 총선 당해 연초 코스피 지수 대비 총선 전일 종가 기준 코스피 지수의 등락률을 분석했다.

이 결과 총 9회(13~21대) 치러진 총선 중 5번(55.56%)의 선거 전 코스피 지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4대(1992년 3월) 총선을 제외한 다른 총선이 4월 중순에 치러진 것을 고려하면 총선 당해 연초 주가 흐름은 우상향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조사 대상 중 코스피 지수 상승률 1위는 22.77%를 기록한 13대(1988년 4월) 총선 이전 시점이었다. 그 뒤를 17대(2004년 4월) 총선 13.03%, 19대(2012년 4월) 총선 9.24%, 14대(1992년 3월) 총선 2.16%, 20대(2016년 4월) 총선 1.02% 순서로 따랐다.

총선 전 코스피 지수가 하락한 시기에 눈여겨 볼 포인트는 불가항력적인 대외 리스크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16대(2000년 4월) 총선이 치러지기 전 -18.58%로 코스피 지수 하락률 1위를 기록한 것은 미국 증시에서 이른바 ‘닷컴 버블’ 사태가 터지며 폭락장세를 보인 여파가 코스피 지수를 직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락률 2·3위를 기록한 21대(2020년 4월, -15.50%), 18대(2008년 4월, -7.51%) 총선 기간 전에는 각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 세계 증시가 맥을 추지 못했던 시기기도 했다.

한국에서 총선보다도 주가 상승세가 더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대선이다. 민주화 이후 치러진 대선 당해 연초 코스피 지수 대비 대선 전일 종가 기준 코스피 지수의 등락률을 분석했을 때 총 8회(13~20대) 대선 중 6회(75%) 선거에서 코스피 지수가 오름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민주화 이후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통령이 이끄는 대부분의 정부에선 큰 선거를 앞두고 사실상 주가 부양 정책으로 볼 수밖에 없는 각종 조치를 취해왔고, 이런 것이 주가엔 긍정적 효과를 낸 것”이라면서 “묵혀뒀던 규제 개혁이나 기업 활동에 대한 지원 정책 등을 큰 선거 전에 내놓음으로 인해 종목들의 밸류에이션을 상승시킨 것이 사례”라고 설명했다.

2006년 이후 美 대선·중간선거 9회 중 6회 다우지수 상승

큰 선거 전 주가가 오르는 현상은 한국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헤럴드경제가 인베스팅닷컴을 통해 지난 2006년 이후 치러진 9차례의 미 대선·중간선거 당해 뉴욕증권거래소(NYSE)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연초 대비 선거 전일까지 다우지수가 상승세를 탄 경우는 총 6회(66.6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폭으로 다우지수가 하락했던 지난 2008년 미 대선(-29.74%) 기간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직후라는 점, 지난 2020년 미 대선(-5.65%)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기 위축이 한창이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선거를 앞두고는 대체적으로 주가가 우상향 곡선을 그리는 경향성이 뚜렷했다 볼 수 있다.

다만, 큰 선거 직후 시점엔 주가가 하락하는 모양새 역시 관측되기도 했다. 최근 9차례 총선 후 3개월 간의 코스피 지수 등락률을 분석했을 대 총 6회(66.67%)에서 하락세가 보이면서다.

특히, 14·17·19대 총선의 경우엔 연초부터 선거 전까지 각각 2.16%, 13.03%, 9.24% 상승했던 코스피 지수가 총선 후 3개월 뒤엔 각각 -12.15%, -19.31%, -10.48%란 정반대 수치를 보이기도 했다.

지난 2020년 미국 대선 당시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당시 미국 대통령, 공화당 대선 후보)이 TV 토론회에서 격론을 벌이고 있다. [악시오스]

한 증권관련 학계 관계자는 “선거 전 정부 지출을 늘려 주식 시장에 더 많은 자금이 흘러가도록 해 주식 시장의 덩치를 키우다 선거 이후엔 ‘재정건전성’ 등을 이유로 ‘돈풀기’를 중단하며 발생한 현상으로 읽을 수도 있다”면서 “기업·신용 부실 등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리스크 발생 시점을 인위적으로 미뤘다 선거 이후 터뜨린 경우도 있었으며, 이런 일들이 주가에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尹 개미 친화 정책…“투심 자극” vs “증시 근본적 영향 ↓”

증권가에선 올해 총선 전 국내 증시의 흐름이 완만한 상승 곡선을 그릴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다.

우선 총선 전 여야 가릴 것 없이 경제 산업 육성과 국가 경쟁력 제고 등의 목적으로 각종 공약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 속에, 이들 공약이 장세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작년 말부터 정부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3대 개인주주 친화 정책’이 증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 역시 지대하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데 이어 지난달 21일엔 양도세를 부과하는 대주주 기준을 기존 10억원 이상에서 50억원 이상으로 완화하겠단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에서 개최한 ‘2024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서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추진하겠단 입장을 천명하기도 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개인 투심을 자극함으로써 지난해 ‘2차전지 투자붐’으로부터 이어져 온 개인 수급 중심의 주가 상승세에 속도를 더할 지 여부가 관심사”라며 “공매도 금지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개인 투자자의 주가 결정력이 커진 상황도 변수”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상반기 중 피벗(pivot, 금리 인하)에 돌입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는 것도 올 초 국내 증시엔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장밋빛 전망을 내놓긴 이른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 다른 증권업계 관계자는 “정부 주도의 개인주주 친화 정책은 총선에 앞서 표심을 잡기 위한 의도가 큰 것일 뿐, 해당 정책이 주가 지수 등 증시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면서 “궁극적 목적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시급하게 손 봐야 할 각종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정책이 후순위로 밀리는 것도 증시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 태영건설발(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가 시스템적 위기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리스크로 꼽힌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