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정부패 가장 심각한 분야는 ‘건축·건설’…“부패 고위공직자 처벌 공정치 않아”
한국행정연구원, 자영업자·직장인 1000명 설문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국민 10명 중 9명 이상은 부패를 저지른 고위 공직자의 처벌이 공정하지 않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부패가 심각한 분야는 건축·건설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국행정연구원은 31일 ‘정부부문 부패실태조사: 반부패·청렴 인식과 부패 경험, 부패 범죄자 처벌 강화 정책의 딜레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5인 미만 사업체를 운영하는 자영업자 400명과 직장인 600명 등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공공부문 부패가 심각하다고 인식한 비율은 45.8%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공공부문에 대한 부패 심각성 인식은 2000년 76.6%를 시작으로 등락을 반복하면서도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다.

2016년 69.9%에서 2019년 48.1%로 하락했으나 2021년 61.9%로 반등했다. 이후 2년 연속 하락했다.

‘부패가 보편적’이라는 인식도 2000년 68.8%에서 꾸준히 내려가 올해 26.8%까지 떨어졌다.

올해 초 국제투명성기구(TI)가 집계한 ‘국가별 부패인식지수’ 조사에서도 한국은 6년 연속 순위가 올라 180개국 중 3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고위직과 뇌물 제공자 등에 대한 처벌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여전히 컸다.

93.4%는 고위공직자의 부패행위에 대한 적발과 처벌이 공정하지 않다고 답했다. 중간관리자(87.9%)와 행정 실무자(64.9%)에 대한 처벌이 공정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보다 높다.

뇌물 제공자에 대한 처벌 수준이 낮다고 밝힌 비율도 97.1%에 달했다. 부정부패를 저질렀음에도 적발되지 않았다고 여긴 비율도 69.3%로 집계됐다.

한편 부정부패가 가장 심각한 행정 분야로는 72.7%(복수응답)가 건축·건설을 꼽았다. 이어 조달·발주(69.0%), 검찰(58.5%), 경찰(49.8%), 국방(48.3%)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심각성이 가장 낮은 분야는 소방(12.7%), 사회복지(24.3%), 보건·의료(29.3%) 등으로 나타났다.

부정부패로 인한 피해 유형으로는 ‘본인과 조직의 사기 저하’가 46.1%로 가장 많았다.

왕영민 한국행정연구원 국정데이터조사센터 연구위원은 “단순히 형벌이 무거워진다고 관련 범죄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면서 “형벌을 강화하기보다는 ‘범죄를 저지르면 반드시 처벌받는다’는 신호를 주는 게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제언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