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리 사회 공정" 10명 중 1명 뿐...OO, OO 기관 불공정
한국행정연구원, 19~69세 2323명 설문

2023년의 마지막 평일인 29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우리 사회가 공정하다'고 여기는 국민은 10명 중 1명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가 공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60%를 넘겼다. 특히 입법, 사법, 행정 등 주요 기관 가운데 국회를 가장 공정하지 못한 기관으로 봤다 .

한국행정연구원이 29일 발간한 '2023년 제5차 데이터 브리프'를 보면 19∼69세 2323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우리 사회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11.5%만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매우 그렇다'(0.5%)와 '그렇다'(11.0%)를 더한 수치다.

반면에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62.3%('그렇지 않다' 48.9%, '전혀 그렇지 않다' 13.4%)에 달했다. '보통'이라고 밝힌 비율은 26.2%다.

국회와 법원, 행정기관 등 국가의 주요 기관에 가운데 '공정하게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은 집단은 국회(76.0%)로 나타났다.

이어 법원(61.4%), 행정기관(37.7%) 순으로 높았다.

'국가기관은 헌법적 의무인 견제와 균형을 잘 수행한다'는 항목에 긍정적 답변은 세 기관 모두 낙제점 수준이었다. 이 답변율이 가장 높은 행정기관이 25.2%에 그쳤고, 법원(14.4%)과 국회(13.3%)는 10%대에 불과했다.

특히 법원과 국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각각 55%가 넘었다.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해 언론사, 노동조합 등 여러 단체에서 국민의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목소리도 컸다.

일반 국민의 건의 사항이나 의견이 가장 반영되지 않은 기관으로는 국회(73.4%)가 지목됐다.

이어 법원(64.4%), 중앙정부(58.9%), 지자체(48.0%), 언론(44.8%), 노동조합(40.6%) 등의 순이다.

아울러 진보적인 성향을 가질수록 '정부는 대다수 국민의 이익을 위해 봉사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보적인 사람이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율은 10.6%로, 보수 성향(25.9%)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부정적 답변 비율은 진보 성향이 69.0%, 보수 성향이 44.2%로 조사됐다.

조사를 진행한 김성근 한국행정연구원 국정데이터 조사센터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로 일반 국민의 공공성 인식이 부정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향후 국민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만들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 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