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전기차 데이터 찾아줘” 물으면 답한다…서울시, 공공데이터 자연어 검색서비스
시민 누구나 공공데이터 편리하게 이용
고차원적 질문도 AI가 종합해 답변 제공
서울시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초거대 인공지능(AI) 기반 공공데이터 자연어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데이터 시각화 예시.[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시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초거대 인공지능(AI) 기반 공공데이터 자연어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시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 플랫폼이 구축되면 데이터 전문가뿐 아니라 서울시민 누구나 공공 데이터를 자연어를 사용해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에 시가 제공하던 API(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중심의 데이터 서비스에서 한 발 더 나아가 AI 챗봇을 활용한 자연어 검색이 가능해진다고 시는 설명했다.

예를 들어 “남산 근처 주차장 위치를 알려줘”와 같은 질문을 하면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 내 주차장 정보를 한 눈에 보기 좋게 편집해 안내하는 식이다.

“남산에 편의시설은 어떤 게 있지?”와 같은 추가 질문을 던져도 금방 종합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서울에 사는 외국인의 행복지수는 어떻게 되지?”,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규모를 알려줘”와 같은 질문에는 서울서베이, 서울지역내총생산 등 통계 정보를 종합해서 알려준다.

“강서구 전년 대비 지역내총생산 성장률과 1인당 규모는 얼마인가?”와 같은 복합 질문에 대한 답변도 가능하다.

“환경차 보급확산 추세에 맞춰 서울 전기차 관련 데이터를 찾아줘”와 같은 요청에도 시가 보유한 전기차 관련 데이터를 종합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시 보유 데이터 외에 외부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검색 방법을 상세히 안내하도록 설정된다.

아울러 시는 데이터 분류체계, 데이터간 연관관계 등을 시각화한 데이터 맵, 주제별 데이터 분석 결과를 인포 그래픽 형태로 제공하는 주제 시각화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시는 초거대 AI 기반 검색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이 중요하다고 보고 향후 공공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AI 분석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윤충식 서울시 빅데이터담당관은 “경제, 산업, 문화 등 모든 분야에 폭넓게 확산하고 있는 ‘대화형 AI’를 활용해 공공데이터 가치와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검색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게 됐다”며 “시민이 방대한 공공데이터에 편리하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 행정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