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U+, 스미싱·보이스피싱 대응…고객 안내 활동 나선다
피싱 사기 예방법 안내 활동 추진
앞서 고객 대상 문자 안내 전개
LG유플러스 직원이 유플러스닷컴 내 ‘최신 스미싱 유형 및 피해 예방 정보’를 소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헤럴드경제=이영기 기자] LG유플러스가 최근 기승을 부리는 스미싱·보이스피싱 피해 방지를 위한 고객 보호 활동을 시작했다.

LG유플러스는 자사 고객을 대상으로 스미싱·보이스피싱 등 민생사기 피해를 주의하고 예방 방법을 안내하는 고객 안내활동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이달 초 U+모바일·알뜰폰 서비스를 이용하는 2400만여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최근 기승을 부리는 스미싱·보이스피싱 유형을 소개하고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을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안내된 사기 피해 유형은 ▷스미싱 ▷보이스피싱 미끼문자 ▷단기알바 사기 문자 등이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로 악성코드를 유포해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사기 유형이며, 보이스피싱은 전화를 통해 피해자에게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대표적 스미싱 유형은 건강검진 결과 안내, 교통범칙금 부과, 택배 배송 주소지 변경 요청 등이 있다. 최근에는 부고 안내문자로 위장한 스미싱 문자까지 신종 사기 사례로 등장했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출처가 불분명한 URL 링크는 절대 누르지 않고, 의심할 것을 당부했다.

만약 링크를 눌렀다면 스마트폰을 비행기모드로 전환해 추가 피해를 차단하고, 경찰에 신고하거나 주변 사람에게 피해 사실을 알려 도움을 요청할 것을 안내했다.

또 최근에는 신용카드사를 사칭해 카드 발급 및 해외 이용 문자를 발송해 전화를 유도한 후 개인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보이스피싱 미끼문자 수법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섣불리 상담원에게 전화를 걸지 말 것을 당부했다.

LG유플러스는 직접적 사기 피해 뿐 아니라 고객 명의의 번호가 사기에 활용될 위험도 경고했다. 범죄자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해 타인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하거나 인터넷 문자를 대량으로 발송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의도치 않게 범죄에 연루되었다는 의심을 사거나 사용하지도 않은 통신요금을 부담하게 될 수 있어 미리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PASS 앱에서 명의도용방지서비스를 이용하면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개통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직접 개통하지 않은 휴대전화 번호를 차단할 수 있다. 또 번호도용차단서비스에 가입하면 ‘나도 모르게 내 전화번호로 인터넷을 통해 발송되는 문자’를 차단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도 문자메시지를 매개로 한 신종 사기 유형 트렌드를 분석해 정기적으로 주의·안내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예정이다.

홍관희 LG유플러스 CISO는 “최근 사기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새로운 유형의 사기도 발생하고 있어 고객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전 고객을 대상으로 안내를 실시했다”며 “LG유플러스는 앞으로도 고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20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