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 ‘해양·항공·섬’ 아우르는 해양 거점도시 조성
인천시, 26일 해양 항공 분야 2024년 업무보고 실시
해양 인프라 구축… 문화·관광도시 조성
지역자원 활용한 섬 관광 콘텐츠 발굴
강화접경해역 어장 면적 확대로 조업 여건 60년 만에 개선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26일 시청 장미홀에서 환경국, 교통국, 해양항공의 환경·교통·해양항공 분야 2024년 주요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천이 해양·항공·섬을 아우르는 해양 거점도시로 조성해 추진하는 계획이 수립됐다.

인천광역시는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 달성을 위한 해양 항공 분야 2024년 업무보고를 26일 개최했다.

업무보고에 따르면 내년에는 ‘해양·항공·섬을 아우르는 해양 거점도시 인천’을 목표로 ▷해양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을 통한 문화·관광도시 조성 ▷정주 여건 개선, 살고싶은 서해 5도 ▷인천형 항공우주산업 육성 ▷디지털·스마트 기반의 물류산업 혁신성장지원 ▷해양·항만 친수 도시 조성 ▷깨끗한 인천 앞바다 조성·관리 ▷안전하고 풍요로운 어촌·어항 조성 등 7대 추진 전략을 마련하고 세부 실행 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해양 인프라 조성을 통한 문화·관광도시 조성을 위해 ▷글로벌 해양도시 기반시설(인프라) 구축 및 해양산업 육성 ▷특수 상황 지역 개발 및 LPG 시설 구축 등을 통한 섬 주민 정주 환경 및 경제활동 기반 확충 ▷섬 주민·섬 방문객에 대한 여객선 운임지원 등 해상교통 이용 편의 증진 ▷지역자원을 활용한 섬 관광 콘텐츠를 발굴·운영할 계획이다.

또 백령 항로 대형여객선 도입과 정주지원금 인상 지원을 통해 ‘정주 여건 개선, 살고싶은 서해 5도’를 조성한다.

인천형 항공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여·야·민·정의 범시민협의체 운영을 통한 공항경제권 선도사업을 비롯해 항공정비 기업유치를 통한 항공기 정비(MRO) 시장 확보와 도심항공교통(UAM) 체계 도입을 위한 인천형 실증 시범사업, 백령공항 건설 및 배후 부지 개발로 교통 불편 해소와 응급상황 신속 대처 등 획기적인 정주 여건 개선에 역점을 두다.

이와 함께 디지털·스마트 물류산업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소상공인 공동배송센터 운영을 통한 비효율적 집화구조 개선 및 소상공인의 경쟁력 제고와 생활물류 쉼터 운영을 통한 생활물류 서비스산업 종사자에게 편의 제공 및 복지서비스 제공, 임대료 및 인센티브 지원을 통한 인천지역 항만 발전 지원 등 물류산업 선진화와 종사자 복지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밖에 ▷해양친수공간 조성(11개소) ▷해안 철책 철거(2024년~ / 25.37km)로 해양·항만 친수공간 조성 ▷해양보호구역 관리와 유해해양생물 제거 ▷해양쓰레기 수거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기반 구축 등 해양·섬·갯벌 등의 우수한 해양자원 관리와 보전 및 국제 인증 추진으로 ‘깨끗한 인천 앞바다를 조성·관리할 방침이다.

시는 안전하고 풍요로운 어촌·연안 조성을 위해 어촌 경제·생활 플랫폼, 어촌·어항 신활력 증진, 안전한 조업환경 조성, 인공어초시설(4개소), 수산종자 매입방류(3개소), 양식사업 육성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어업 생산기반을 구축한다. 또 수산물 가공·유통시설(강화·옹진·중구·남동) 등 기반을 조성해 섬·어촌지역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계획이다.

한편 인천시는 올해 강화접경해역의 어장 면적을 60년 만에 8.2㎢ 확장해 접경지역 어업인들의 소득 여건을 개선하고 지속적인 군사 경계 철책 철거를 통해 친수 공간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 지난 11월 인천생활물류쉼터를 개소해 휴게공간 및 상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물류·유통 노동자의 복지 및 권익 증진 기여와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 구축으로 소상공인 물류비용 부담을 덜고 물류 경쟁력 강화와 지역 물류체계를 개선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