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日 “과학기술·우주개발 협력 강화”…조성경 차관 日 방문 협력 물꼬
- 디지털·지진대응·사용후핵연료관리・우주기술개발 협력방안 협의
조성경(왼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일본 CSTI에서는 마쓰오 히로키 사무총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성경 제1차관은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일본을 방문해 한·일 간 우주 및 전략기술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했다. 이는 금년 한‧일 정상 간 회의 논의 의제에 대한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한‧일 간 과학기술협력은 지난 2011년 한일과학기술협력협의회를 끝으로 양국간 공식 채널이 닫혔으며 2019년 한‧일‧중 과기장관회의 이후로 다자간 채널을 통한 협의도 중단된 상태였다. 올 상반기 양국 정상간 셔틀외교 복원을 계기로 과학기술 분야 한‧일 정부간 대화가 12년만에 재개됐다. 조 차관은 이를 이어 협의의 범위를 우주로 확장하고 공동연구 발굴 등 협의를 구체화 하기 위해 정부기관을 찾고 연구현장을 방문한 것이다.

조 차관은 한·일 양국간 우주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를 방문했다. 이는 우주항공 분야를 전담할 한국 우주항공청 설치에 대한 논의가 국회에서 진행 중인 바, 양국간 우주 분야 협력을 위한 소통 채널을 개설하고 협력을 구체화하려는 목적이다. 조차관은 JAXA 이시 야스오 국제협력 이사와 양국간 공동 우주탐사 프로젝트 등의 마중물을 마련하기 위해 대학·연구소간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등 우주 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사항도 논의하고 지속 발전시키기로 했다.

또한 조차관은 한‧미‧일 전략기술 공동연구 협력에 대한 논의 진전을 위해 일본 내각부의 종합과학기술혁신회의(CSTI)와 동경대학교를 방문했다. CSTI에서는 마쓰오 히로키 사무총장을 면담하고 국가 연구소간 전략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세부사항을 논의했다. 조차관은 한·일 양국의 강점과 필요성을 고려하여 협력 연구분야와 참여기관을 상호 매칭할 수 있다며 그 사례로 ▷디지털 분야 ▷지진대응 분야 ▷사용후핵연료 등을 제안했다.

조성경 차관이 일본 아이스페이스 관계자들과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이어 조차관은 동경대학교 후지 테루오 총장과 면담을 통해 대학 간 전략기술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활성화를 위한 의견을 나눴다. 최근 한‧미‧일 삼국의 대학 간 양자(퀀텀) 공동연구 등 논의가 추진*되고 있는 바, 동경대학교의 활성화 전략 및 건의사항 등을 청취했다. 이어 일본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QST)에서 양자 센싱과 의료 융합 연구 등 시설을 방문해 협의했다.

조성경 차관은 “이번 일본 방문을 통해 한국과 일본이 과학기술 협력을 통해 상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 분야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었으며 이것이 실질적 실행을 위한 강력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의 우주정책을 관장하는 정부, 기술을 개발하는 JAXA, 뉴스페이스를 구현하는 세계적 스타트업과 논의하면서 앞으로 대한민국의 우주항공청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한 중요한 과제를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