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두산건설, 하동연료전지발전 건설사업자로 주주협약 체결
19.8MW 발전용량…사업비 1162억 규모
하동 대송산업단지 조감도. [하동군 제공]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두산건설은 지난 15일 경남QSF 등과 ‘하동 연료전지 발전사업’의 건설사업자로 주주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하동 연료전지 발전사업은 경상남도 하동군 대송산업단지에 연간 발전량 약 16만MWh, 사업비 약 1162억원, 공사비 951억원 규모로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두산건설은 연료전지 발전소의 설계, 시공부터 종합 시운전까지 건설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경남QSF는 본 사업에 관련된 종합사업관리와 연료공급 역할을 담당한다. 수소연료전지의 제작, 공급, 유지보수는 두산퓨얼셀이 맡아서 진행할 예정이다.

하동 연료전지 발전사업은 19.8MW의 발전용량으로 시공될 예정으로 이는 4인 가구 기준(월간 사용량 332kWh) 약 4만가구가 사용 가능한 용량이다. 이는 하동군 전체 인구인 2만3000가구(지난달 기준)를 넘어서는 용량으로, 정부가 전력의 생산과 소비를 지역 단위로 일치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분산형 전원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전력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계통평균 발전원 대비 연간 약 2만2900톤의 이산화탄소(CO2) 감축효과도 있다.

이번 사업은 전기 생산뿐 아니라 액화천연가스(LNG)의 냉열과 연료전지의 폐열을 활용하는 융복합사업으로 새로운 사업 모델이다. 발전 전 LNG에서 발생하는 -162℃의 냉열은 초저온 급속동결에 사용되고, 발전 후 발생하는 폐열은 건조가공 및 스마트팜의 난방공급에 활용된다. 두산건설과 경남QSF는 본 사업과 연계된 추가 개발사업에도 협력할 계획이다.

두산건설은 “다양한 모델의 연료전지 사업을 발굴·제안하고 있으며,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계획과 맞물려 수주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연료전지 발전사업에서 쌓아온 실적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신재생에너지 사업참여를 통해 ESG경영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wshi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