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기부 한파’에 도움 손길도 ‘뚝’…“젊은 후원자들 줄어들어 걱정”
기부 경험 시민, 10년 만에 10.9%포인트 감소
고물가·경제난·모금단체 신뢰도 하락도 영향
“모바일 기부 도입, 소액 기부 참여 독려 중”
21일 강남구 지하철 역 안에서 구세군 자원봉사자가 모금을 알리는 종을 울리고 있다. 김용재 기자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고물가라고는 하지만 젊은 세대에서 기부하는 문화가 없어져 가는 것 같다.”

한 모금단체 관계자 A 씨의 말이다. 21일 서울 강남구 삼성역 일대의 구세군 자선냄비 앞은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을 알리는 종소리가 거리에 1시간 가까이 울려 퍼졌음에도 시민들의 참여는 거의 없었다.

성탄절 연휴가 다가온 코엑스 근처는 많은 사람들로 붐볐지만, 기부 모금함을 관심 있게 쳐다보거나 기부에 나선 이는 어린아이 한 명뿐이었다.

자원봉사자 김모(45) 씨는 “최근 날씨가 춥다 보니 사람들의 마음도 차가워진 것 같아서 가슴 아프다”라며 “어린아이들이 한 번 경험 삼아 하는 것 제외하고는 기부하는 이들이 적은 것 같다. 특히 젊은 세대에서 현금을 가져와 자선 냄비에 돈을 내는 경우를 본 적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통상 연말은 기부의 계절이라고 불렸지만, 고물가로 기부에 대한 마음이 적어진 데다가 모금단체에 대한 신뢰도 감소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기부를 했다는 사람의 비중은 23.7%로, 10년 전인 2013년 34.6%보다 10.9%포인트 감소했다. 또 올해 5월 직전 1년간 기부자 1인당 평균 기부액은 58만9800원으로 2021년 60만3000원보다 감소했다.

이들이 꼽은 ‘기부하지 않은 이유’로는 ‘경제적 여유가 없다’라는 답변이 4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기부에 관심이 없다’가 35.2%, ‘기부 단체를 신뢰할 수 없다’가 10.9%를 기록했다.

강남역에서 만난 한 자원봉사자는 “앞으로는 기부하는 사람들이 더 줄어들 것 같다”라며 “현금을 들고 다니지 않는 추세와 직접 기부가 늘어난 것도 이에 한몫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3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에서 구세군 관계자가 자선냄비 모금 활동을 하고 있다. [연합]

실제로 직접 기부에 대한 관심도는 올라가는 추세다. 아름다운재단이 발간한 ‘한국의 기부방식 변화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개인을 통한 직접 기부금 규모는 2016년 1억9000만원에서 2020년 13억6700만원으로 상승 추세다.

매년 단체를 통해 기부하다가 현물 기부로 방식을 바꿨다는 이모(61) 씨는 “후원 후에 내가 어떤 도움을 줬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가 없어서 현물을 주는 방식으로 기부 방법을 바꿨다”라며 “단체에 자동이체로 돈이 빠져나가게 두는 것보다는 차라리 어린이집이나 보육원에 과일을 잔뜩 보내는 게 더 낫다는 생각이 들더라”고 설명했다.

모금단체들은 이같은 추세에 맞춰 변화를 꾀하고 있다. 침체한 기부 문화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기부금 사용처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변화한 환경에 따라 새로운 모금 방식을 찾아 나선 것이다.

구세군 자선냄비와 사랑의열매 등에서에는 현장 기부 장소에 모바일 페이로 기부할 수 있는 QR코드를 도입했다. 사랑의 열매 관계자는 “어렸을 때부터 적은 액수라도 기부하는 문화가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라며 “모바일·페이 기부 등을 도입해 소액이라도 기부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모금단체 관계자는 “기부받은 돈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데이터를 만들어서 기부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다양한 모금 활동을 통해 여러 세대의 기부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을 고민중”이라고 말했다.

17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 사랑의 온도탑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연합]

전문가 역시 기부 방식의 변화 필요성을 지적했다. 장윤주 아름다운재단 연구원은 “기부자들이 자신의 기부 행위로 사회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계속해서 보여주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라며 “외국의 사례처럼 경영진 등이 급여를 공개하는 등 단체의 투명성을 올리고, 더 다양한 소통방식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brunc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