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서울시 ‘땅꺼짐’ 예방 위해 내년 도로 5000㎞ 샅샅이 조사한다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서울시는 땅꺼짐(싱크홀) 사고 예방을 위해 지반침하 우려 특별점검 구간을 크게 늘리기로 했다.

서울시는 그간 대책을 강화했음에도 강남구 언주역과 청담역 등에서 크고 작은 땅꺼짐이 발생함에 따라 지반침하 최소화를 위한 예방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땅속 빈 공간인 지하 공동(空洞)은 빗물 유입으로 인한 토사 유실, 노후 상·하수관 파손으로 인한 지반 약화 등 여러 이유로 발생한다.

서울시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10년 간 서울 전역의 1만8280㎞에 대한 공동 전수조사를 했으며, 6394개의 공동을 발견해 복구했다.

지난해까지 시 도로 전 구간에 대한 전수조사를 2회 완료했고, 올해부터는 3회차 전수조사에 돌입했다.

최근 10년간 공동 조사 구간은 60배로 확대됐고, 조사연장 1㎞당 공동 발견율은 0.61개에서 0.23개로 크게 줄었다.

서울시는 해빙기와 우기를 전후해 시행하는 특별점검을 올해 500㎞에서 내년 5000㎞로 확대한다.

우선 지반침하 우려 구간 1850㎞를 선정하고, 해당구간을 2∼4회 반복 조사하는 방식으로 연 5000㎞를 점검할 계획이다.

강화된 특별점검을 위해 전담인력과 장비도 확충한다.

탐사 전문인력을 3명에서 6명으로,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 조사장비는 3대에서 5대로 늘린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 5개조가 주당 100㎞를 특별점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2개조가 주당 40㎞를 점검했다.

연차별로 추진하는 정기점검은 매년 2200㎞의 보·차도에 대해 실시하도록 했다.

올해부터 시작된 3회차 전수조사(2023∼2027년)부터 보도구간도 조사에 포함했다.

기존 차도(6863㎞)에 대해서만 실시하던 공동 조사를 보도(4093㎞)까지 확장해 총 1만956㎞의 보·차도에 대한 연차별 정기점검을 하게 된다.

자치구에서 관리하는 구도(區道) 특별점검도 연간 1852㎞에 대해 추진된다.

관리주체가 복잡하고 다양한 지하시설물을 통합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지하안전부서의 업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지하안전관리시스템을 1단계로 구축해 올해부터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는 시스템을 고도화해 지반침하 조사구간을 과학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2단계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관리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땅꺼짐을 예방하고, 신속한 원인 규명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전역에 지반침하 관측망을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해 지하 안전을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서울시 지반침하 관측망'(가칭)도 2029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각종 공사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굴착공사장 안전관리 강화에도 나섰다.

우선 굴착공사장의 지하안전평가 이행 여부를 올해부터 전수 점검하도록 했다.

기존에는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장에 대해 지하안전평가 이행 여부를 10곳에 한해 표본점검하는 데 그쳤다.

지하안전평가란 건설공사 사업 전 지하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지반 및 지질현황,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지반 안전성 등을 미리 조사하는 것으로 지반침하 등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된다.

공공 주도 공사장의 지반침하 사고예방을 위한 특별 조치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 지하 10m 이상 모든 공공 공사장은 굴착 단계별로 공동 조사를 시행토록 해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한다.

최진석 서울시 재난안전관리실장은 "땅속 빈 공간은 지반침하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신속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활용한 지하 공동 조사 등 예방 활동을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