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카오 사법리스크 여파…카카오페이, 미국 종합증권사 시버트 경영권 인수 무산
시버트, 카카오페이에 3년간 500만달러 지급 합의
[카카오페이 제공]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카카오에 덮친 사법리스크로 카카오페이의 미국 종합 증권사 시버트에 대한 경영권 인수가 무산됐다.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으로 카카오가 검찰의 수사를 받자 결국 자회사의 해외 기업 인수·합병(M&A)에까지 영향을 끼친 것이다.

20일 카카오페이는 시버트와 양사간 합의에 따라 경영권 인수 절차를 마저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4월 시버트의 지분 51.0%를 두 차례에 걸쳐 약 1039억원에 취득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가운데 지분 19.9%(807만5607주)는 지난 5월 1차 거래를 통해 확보했고, 내년 중 2차 거래를 통해 나머지 지분(2575만6470주) 인수가 완료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카카오 그룹의 경영진이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조작 혐의로 수사를 받고,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빠지자 시버트는 지난달 카카오에 "2차 거래를 종결하기 어려운 '중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는 내용의 서신을 보낸 것으로 전해진다.

시버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공시 자료를 통해 '중대한 부정적 영향'의 의미에 대해 한국 당국이 카카오페이와 모기업 카카오에 '조치를 하는'(taking action)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차 거래 미진행으로 지분 인수 계약이 종료되고 관련 주주 간 계약이 변경됨에 따라 시버트파이낸셜은 카카오페이에 내년 3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총 10개 분기에 걸쳐 500만달러(약 65억원) 규모의 합의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다만 카카오페이는 전날 양사 간 합의에서 지난 5월 진행된 1차 거래를 통해 보유한 지분(19.9%)과 시버트 이사회 구성원 자격을 유지하고, 이사회 멤버로서 해야 할 역할을 지속하기로 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앞으로도 이사회 멤버로서 지속적인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양사의 비즈니스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