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게 뭔데 60억?” 老부부 21만원에 판 가면 충격…“취소할래” 소송 결과는
[AFP=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프랑스의 한 노부부가 희귀한 아프리카 가면의 가치를 몰라보고 이를 중고상에 헐값에 건넸다. 뒤늦게 가면의 '진짜 가격'을 안 뒤 "중고상에 사기를 당했다"고 소송을 걸었지만, 결과는 패소였다.

19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알랭(88)과 콜레트(81) 부부는 2021년 9월 다락방을 청소하던 중 웬 나무 가면을 찾았다.

알랭은 이를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물건이라고 생각했다. 쓸데없는 부적으로 봤고, 큰 고민 없이 중고 상인 알렉상드르에게 150유로(약 21만원)를 받고 팔았다.

이들 부부가 이 가면을 다시 보게 된 건 지난해 3월 피가로 신문을 통해서였다.

신문은 이 가면을 아프리카 가봉의 팡족이 만든 진귀한 '은길 가면'(Ngil Mask)이라고 소개했다. 더 충격적인 소식이 있었다. 한 경매장에서 이 가면이 420만 유로(약 60억원)에 낙찰됐다는 것이다. 원래 30만 유로(약 4억2000만원)에 낙찰될 예정이었던 이 가면은 경매장이 한 번 바뀌면서 10배 이상으로 값이 치솟았다.

이 가면은 앙리 마티스와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등 예술 거장들에게 영감을 준 20세기 초 아프리카 부족의 것이었다.

현재 전세계에는 10개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총독이자 알랭의 할아버지였던 르네 빅토르 에드워드 모리스 푸르니에가 1917년 무렵 입수한 뒤 후손에게 물려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노부부는 중고상이 가면의 가치를 알고도 자신들을 속여 헐값에 사갔다고 주장했다. 중고상은 자기 또한 이 가면의 가치를 몰랐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초 경매가인 30만유로를 지급하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노부부는 합의하지 않았다. 이들은 민사 소송에 나섰다.

법원은 중고상의 편에 섰다. 법원은 중고상이 노부부를 속인 게 아니고, 부부가 작품의 가치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고 봤다. 노부부의 소송대리인은 "법원은 원고들이 가면을 팔기 전 가면의 가치를 알았거나 최소한 문의는 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무료 감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한 것인데, 우리는 당연히 항소하겠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가면의 '원주인'인 가봉은 이 물건이 자국 소유라며 판매 중단을 요청하고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도 걸었다. 하지만 법원은 가봉 측 주장도 기각했다.

한편 피카소의 대표작인 '아비뇽의 처녀들', 모딜리아니 특유의 길게 늘어진 초상화 등은 이러한 아프리카 가면의 형태에 영감을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