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업 종사자에게 듣는 2023 디지털마케팅 결산 및 2024 트렌드 전망

<사진설명 : DMC리포트가 제안하는 2024 디지털마케팅 키워드 10>


㈜디엠씨미디어(대표 이준희)의 디지털 광고마케팅 지식 포털서비스 ‘디엠씨리포트’가 20일 ‘DMC K-SDM 2023 : 현업 디지털 마케터가 말하는 디지털 마케팅 2023년 결산 및 2024년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디지털마케터 394명에게 직접 수집한 온라인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디지털마케팅 세분시장과 글로벌 이슈를 펼쳐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올해 디지털마케팅 시장 내 가장 뚜렷한 변화는 집행예산 부문에서 광고의 비중이 낮아졌다는 점이다. 물론 아직까지는 주요 마케팅 유형별 집행 비중에서 광고가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올해 처음 그 수준이 절반 미만(41.8%)으로 감소했다. 이는 광고주와 대행사 및 기업규모와 직급을 불문하고 전반적으로 체감하는 변화이다. 그에 반해 이벤트 프로모션과 언론홍보에서의 집행 비중은 소폭 증가하며, 온라인 언급(버즈량) 등 즉각적인 화제성 제고에 유리한 마케팅 유형이 올해 두각을 드러냈다.

PC/모바일 마케팅 매체에서는 리테일 미디어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포털사이트와 소셜미디어가 여전히 PC/모바일 시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리테일 미디어가 전년 대비 7.1%p의 성장률을 보이며 전체 예산 비중에서 약 10%를 차지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동일한 현상으로서, 갈수록 심화되는 서드파티 데이터 제약에서 기인한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저하와 유관한 흐름으로 해석된다.

이 외에도 디엠씨리포트는 ▲MOCE AI ▲Soul Targeting ▲Indiesumer를 포함한 10가지 키워드를 통해 내년도 트렌드를 전망하는 한편, 마케팅 실무자 여론을 토대로 2021년 도입된 애플의 ATT 정책과 내년 3분기로 예정된 구글의 서드파티 쿠키 중단 이슈로 2024년도 디지털광고 효율이 전반적으로 낮아질 것이라 내다봤다. 또한 내년 3월부터 본격 시행되는 EU의 디지털 시장법(DMA) 역시 전체 디지털광고 시장을 위협하는 핵심 요소로써, 이같은 굵직한 이슈에 대해 국내 광고주와 대행사 등이 적극적이고도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관계자는 “시장 규모를 근거로 디지털마케팅 시장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나라 디지털마케터들이 전체 시장을 조망함에 있어 분명 유용한 측면도 있으나, 산업 및 분야별로 보다 상세한 분류체계가 마련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에서 이번 보고서를 기획했다”며 “디엠씨미디어가 가진 광고운영 경험과 미디어 인사이트를 토대로 각계각층 현업 종사자들의 시각과 의견을 톺아본 만큼, 내년 디지털 광고마케팅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im395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