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관절염 말기 인공관절 수술...로봇으로 정확도 높인다
보통 관절염은 대체로 노화로 인한 질환이다 보니 시기를 타지 않지만, 겨울철 운동량이 줄어들면 관절과 함께 주변 근육도 약해져 통증 악화로 이어지기 쉽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날씨만 추워지면 유독 무릎이 시큰거리네.” 날씨가 추워지면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난다. 추운 날씨에 근육, 인대가 경직되고 혈관이 수축하며 관절 통증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특히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라면 통증의 정도는 더욱 심해진다.

실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관절염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약 500만 명이다. 보통 관절염은 대체로 노화로 인한 질환이다 보니 시기를 타지 않지만, 겨울철 운동량이 줄어들면 관절과 함께 주변 근육도 약해져 통증 악화로 이어지기 쉽다.

그 중에서도 무릎은 퇴행성관절염이 찾아오는 대표적인 관절 부위로 노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무릎 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져 뼈끼리 충돌해 염증과 통증을 야기한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관절염 1기 등 초기에는 약물치료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주사요법 등 비수술 치료에 나선다. 2~3기에서는 약물과 시술을 병행하는 추세다. 하지만 정도가 심해져 4기에 이른 상황이라면 손상된 관절을 인공구조물로 대체하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아야 한다.

민병조 대찬병원 원장은 조기에 발견하면 다양한 치료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이미 연골이 많이 손상돼 뼈까지 닳은 말기 환자라면 인공관절 치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만 수술이라는 단어에 두려움과 부담감을 느껴 망설이는 환자들이 많다. 보존적 치료만으로 통증이 사라진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건 사실이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만 의존할 경우 무릎 관절염이 더욱 악화되어 심각한 수준에 이를 위험이 크다.

민병조 원장은 “관절을 교체하는 수술인 만큼 섬세하고 수준 높은 의료적 기술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며 “환자가 느낄 부담감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로봇 인공관절 수술을 권한다”고 밝혔다.

인공관절 치환술은 손상 정도에 따라 손상된 부분만을 치환하는 부분 치환술, 관절 전체를 교체하는 전치환술로 나뉜다. 이를 수행하는 로봇 인공관절 수술은 CT 촬영으로 3D 모델의 뼈를 형상화하고 환자 뼈 상태에 적합한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수술 계획은 환자 개인의 연령, 증상, 상태, 질환의 진행 정도를 꼼꼼하게 진단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 개인의 신체적 내력을 상세히 파악하는 것은 환자가 납득하고 병원이 보장하는 통합적 수술 치료를 실시할 때 필수가 되는 기본적인 근간이다. 이를 통해 수술 계획을 여러 번 재점검하며 환자의 몸이 필요로 하는 인공관절 삽입 위치, 인공구조물의 크기, 적살 범위 등을 꼼꼼히 구상한다.

대찬병원 민병조 원장은 "좋은 인공관절 수술은 관절기능을 얼마나 잘 향상시키고 이를 오랫동안 잘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고 강조한다.

민 원장은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관절염 환자의 관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민병조 원장은 "좋은 인공관절 수술은 관절기능을 얼마나 잘 향상시키고 이를 오랫동안 잘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며 "좋은 예후를 위해서는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의 집도하에 로봇인공관절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