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 상반기 늘어난 예금 상호금융·저축은행에 65% 몰렸다[머니뭐니]
은행권 예금금리 인상폭 2014년 이후 최대
“과도한 예금금리 인상, 금융기관 재무취약성 증대”
“예대금리차 축소 정도 더 커져…수익성 악화”
[뉴시스]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지난해 말 촉발된 은행권 예·적금 금리 경쟁 영향으로 상호금융·저축은행 등도 잇달아 예금금리를 올리면서, 올해 상반기 중 늘어난 예금의 64.9%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고금리 장기화로 이들 비은행권의 대출 영업이 악화된 상황에서, 고객에게 내줘야 할 이자비용이 급증하면서 재무·수익 안정성이 저하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BOK이슈노트-예금취급기관의 예금조달행태 변화 및 정책적 시사점’에 따르면 2021년 하반기 이후 시중은행이 예금금리를 가파르게 높이면서 지방은행·저축은행과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시중은행 예금금리가 지난해 3분기 시장금리(CD수익률)보다 0.83%포인트 커져 그 폭이 2014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자 대출 자금의 86.4%를 예금으로 조달하고 있는 상호금융과 상호저축은행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예금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리기 시작했다. 지난해 4분기 이들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예금금리는 시장금리보다 무려 1.42%포인트나 높았다.

이에 지난해 3분기 이후 역머니무브(자본시장에서 은행권으로 자산이 이동하는 현상)이 심화됐다. 금리상승기 이전인 2014년 1분기와 지난해 2분기까지는 예금 증가분의 54.4%는 시중은행에, 33.4%는 비은행에 예치됐었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부터 늘어난 예금의 46.6%는 시중은행에, 45.2%는 비은행예금취급기관에 예치되며 비은행 부분의 비중이 늘어났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늘어난 예금취급기관 예금의 64.9%가 상대적으로 금리 수준이 높은 상호금융 및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으로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유재원 한은 은행리스크팀장은 “은행권을 중심으로 지난해 3분기부터 수신 확보 경쟁이 치열했다”며 “2020년 이후 시중은행은 예금금리를 꾸준히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예금 증가규모 감소세를 보인 반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경쟁적인 예금금리 인상 등으로 예금 증가세가 강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실제 금리상승기 이전(2019년 3분기~2021년 2분기) 시중은행의 예금 증가규모는 88조9000억원에서 이후(2021년 3분기~2023년 2분기) 67조1000억원으로 증가규모가 줄었다.

반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같은 기간 44조2000억원에서 65조원으로 증가 규모 확대폭이 20조8000억원, 47.1% 급증했다.

유 팀장은 “올해 2분기 말 비은행권에 전체 예금취급기관 예금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1분기 29.2%에서 33.8%로 상승했다”며 “이러한 변화는 궁극적으로 예금조달을 통한 자금중개기능에 있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한국은행 제공]

하지만 법정최고금리·금융권 대출 금리 인상 자제 등으로 대출금리 상승폭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예금금리가 큰 폭 오르자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예대금리차)가 크게 축소됐다. 이에 금융기관의 재무안정성·수익성이 악화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예대금리차 수준이 낮은 그룹에서 예금금리 스프레드(예금금리-시장금리, 예금금리 상승폭)와 재무안정성 간 부정적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대금리차 수준이 낮은 예금취급기관이 예금금리를 높였을 경우 예대금리차 수준이 높은 기관에 비해 재무안정성이 더 나빠졌다는 이야기다.

또한 예대금리차 수준이 낮은 예금취급기관은 총자산수익률 뿐만 아니라 자본관련 지표의 수준도 저하됐다. 대출금리를 크게 올릴 수 없는 상황에서, 자금 조달을 위해 예금 금리를 올렸지만 그에 따라 고객에게 내주어야 할 이자 비용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유 팀장은 최근 저축은행업권 등 비은행권 동향에 대해 “예금금리 경쟁을 작년만큼 못 하는 모습”이라며 “일부 비은행 업권의 경우 많이 늘어난 조달 비용만큼 대출 양을 늘려 수익성을 유지하려는 영업 행태를 보이고 있지만, (시장 상황상) 수익성 저하가 우려돼 자금 운용이 제한적이다”라고 짚었다.

이어 유 팀장은 “은행들에 의해 수신경쟁이 촉발될 경우 그 파급영향이 예금 이외의 대체 자금조달수단이 부족한 비은행권에 빠르게 전이된다”며 “은행권의 예금만기, 재예치규모 등 유동성관리 상황을 한층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비은행권의 경우 위기시 중앙회가 개별 회원기관에 시의적절하게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확충해야한다”고 조언했다.

moo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