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스코, 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산업용 가스 생산·저장 설비 착공
1000억원 투자, 산업용 산소∙질소 年25만t 생산
포스코퓨처엠 등 이차전지 소재 기업과 장기 계약
포항제철소 내 산소공장 전경 [포스코 제공]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포스코가 경북 포항시 영일만 일반산업단지 내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연산 25만t 규모 산업용 가스 생산 설비 건설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포스코는 약 1000억원을 투자해 5000평 부지에 산소공장을 신설하고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를 분리·정제하는 공기분리장치(ASU)와 액체산소 2000t을 저장할 수 있는 대형 저장탱크 등을 설치한다.

오는 2024년 하반기에 대형 저장탱크를 먼저 설치하고 2025년 하반기까지 ASU 설비를 준공하여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재, 전구체 생산공정 및 니켈 정제공정에 사용될 고순도 산소와 질소를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포스코는 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 내 양극재 공장을 운영 중인 포스코퓨처엠 등과의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산업가스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신설을 통해 연간 양극재 10만t, 순니켈은 5만t, 전구체는 11만t의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산소공장 준공은 현재 해외 및 사모펀드 소유 기업이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국내 산업가스 시장에서 포스코가 영향력을 늘린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국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현재 포항·광양 제철소에 국내 최대 규모인 산소공장 총 22개를 보유하고, 연산 약 1700만t의 산업용 가스를 생산 중이다. 이중 1600만t은 철강 생산 공정에, 나머지는 외부에 판매하고 있다.

산소와 질소는 철강뿐만 아니라 반도체, 조선, 화학,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의 생산 공정에 필수적인 유틸리티다. 국내 기체가스 시장 규모는 연간 약 2조2000억원, 액체가스 시장 규모는 연간 5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특히 기체시장 수요처 중 반도체와 이차전지 소재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80%에 달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향후 수요처 인근에 ASU 설비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겠다”면서 “산소·질소 등 일반산업가스와 더불어 네온(Ne), 크립톤(Kr), 제논(Xe) 등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희귀가스와 제철소 부산물을 활용한 특수가스 상용화를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 2021년부터 제철소 산소공장에서 생산되는 산업가스를 활용한 신사업을 착수하였고, 2023년 1월에는 산업가스 사업 확대 및 전문 운영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산업가스사업부를 신설하여 산업가스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