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오늘 중폭 개각…총선 출마자 대신 관료·전문가 채운다 [용산실록]
취임 후 최대폭 인사…국정과제 추진 주력
능력 위주 인사로 민심 회복 시도
‘서오남’ 넘어 ‘지여사’ 발탁 관심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이종석 신임 헌법재판소장 임명장 수여식에 입장하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윤석열 정부 2기’를 알릴 중폭 개각을 단행할 전망이다. 총선 출마를 앞둔 장관들의 빈자리는 관료, 학계, 전문가 등이 채울 전망으로 보인다. ‘총선용 개편’을 넘어 윤 대통령이 공표해온 능력 중심 인사를 재확인해 국정 쇄신을 꾀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 오후 윤 대통령은 취임 후 가장 큰 폭의 인적 교체에 나설 전망이다. 지난 30일 대통령실 참모진 개편을 한데 이어 이번주 내 개각을 통해 사실상 ‘윤석열 정부 2기’의 윤곽이 나오는 셈이다.

7~8명 안팎의 장관이 교체를 앞둔 가운데 1차 교체대상 부처로는 국토교통부, 국가보훈부, 중소벤처기업부,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금융위원회 등이 거론된다. 집권 3년차를 맞는만큼 내년 총선 출마가 예정된 장관을 관료, 전문가, 학계 등으로 채워 국정과제 이행을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 자리에는 최상목 전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내정된 가운데 국토부 장관으로는 박상우 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보훈부 장관에는 김정수 전 육군사관학교장과 강정애 전 숙명여대 총장이 검토된다.

농식품부 장관은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유력하고, 해수부 장관으로는 송상근 전 차관이 거론되고 있다. 중기부 장관의 경우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이 물망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원장에는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내정됐다.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후임 후보자도 이날 나올지 관심사로 꼽힌 가운데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일단 개각 대상에서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총선 출마 공직자 사퇴 시한인 내년 1월 11일 이전 ‘원 포인트’ 개각 가능성이 높다는게 중론이다.

지난달 30일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통령실 신임 참모진 인사에 관해 발표하던 모습 [연합]

윤석열 정부 2기 인사들은 그간 내세웠던 국정과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하는 데 방점을 찍을 전망이다. 특히 지난주 정책실을 부활시킨만큼 노동·연금·교육 등 3대 개혁과 민생 과제들을 각 부처와 면밀하게 조율하는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개각을 통해 총선 출마자를 교체해주는 ‘보궐형 인사’라는 한계를 딛고 능력 주의에 따른 인재 중용이라는 평가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할 전망이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 실패로 얼어붙은 민심을 수습해야하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대 출신 50대 남성으로 축약된 ‘서오남’ 인사에서 벗어나 지역 기반 40대 여성을 발탁하는 ‘지여사’ 인사가 나올지도 관전 포인트다. 윤 대통령은 참모진에게 최근 “1970년대생 여성 인재 풀을 대거 확충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