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학업 부담과 경쟁, 극단선택 이어질 수…참지 말고 치료를”[상위 0.1%의 그늘]
전국 대학 상담센터 조직 갖추고 있어
“비용 무료, 개인 정보 보호는 당연”
의대생·로스쿨생 전용 상담 조직도 곳곳
대학별 인프라 차이는 한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마인드케어센터 상담실. [연세의대 홈페이지 캡처]

[헤럴드경제=박지영·박혜원 기자]“전국 대부분 대학에 학생상담센터가 개설돼 있습니다. 대학원생도 이용 가능하고 비용 역시 무료입니다. 학업의 어려움과 경쟁은 자살로 이어질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27일 이동훈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 협의회장(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전문가들은 상위 0.1%에 속하는 이들도 극한의 경쟁에서는 정신건강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가까이 있는 대학상담센터와 정신과 등 적극적인 상담을 통해 일찍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국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 따르면 현재 전국 250여개 대학에 학생 상담센터가 개설돼 있다. 이 회장은 “심리상담의 기본은 개인정보 보호다. 대학 상담센터는 학교 시스템에 등록하지도 않고 개별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한다”며 “외부 기관에서 특정 개인에 대한 상담 내역 정보 조회가 와도 응하지 않으니 적극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특히 의과대학의 경우 의사 양성과 학생의 심리, 생활, 학업 안정이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판단해 대부분 의대가 학생 지원과 심리 상담을 전담하는 조직을 별도로 갖추고 있다. 의과대학 의학교육실 등에 상담 창구를 마련해뒀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은 국내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에 학생상담체계를 갖출 것을 권고하고 있기도 하다. 일부 로스쿨 또한 로스쿨 재학생을 위한 상담사를 마련하는 추세다.

경희대 의대 의학교육실장을 맡고 있는 전숙 의대 교수(내분비내과)는 “교수들 또한 의대생에 대한 심리·정신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걸 깨달아 적극 장려하고 있다”며 “우울, 불안 때문에 성적이 떨어지면 이는 정신건강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의 고리가 된다. 조기 파악 및 적극 개입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실제 상담센터 단계에서 문제가 파악돼 호전되거나 정신과로 연계돼 치료를 받고 좋아진 경우도 많다. 참고 견디기보다 빨리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고 권유했다.

정부가 운영하는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을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제공 기관에 방문해 3개월(10회) 동안 주1회 전문심리상담과 사전·사후검사를 받을 수 있다. 만 19~34세 청년이라면 소득과 상관없이 비용 지원도 받을 수 있다. 2개 서비스 유형에 따라 10회 당 본인부담금 6만원, 7만원을 지불하고 이용 가능하다.

실제 학내 상담센터와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을 이용한 의사 A씨(31)는 “학교 상담센터, 애플리케이션과 전화 비대면 상담,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등을 통한 전문가와의 상담이 큰 도움이 됐다”며 “평생 나를 괴롭힐 것 같아 보이는 우울도 시기가 끝나면 ‘그땐 그랬지’라며 쉽게 웃으며 넘길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대학 별 심리·정서 지원 인프라에 편차가 있어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방의 한 로스쿨 교수는 “(상담센터 운영도) 돈 없는 학교는 어렵다”며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상담에 드는 인건비가 가장 큰 부담이다”고 호소했다. 이 학교는 정신적 문제를 심각하게 호소하는 학생에 한해서만 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재정 부담 때문에 상담센터 규모를 줄인 곳도 있다. 정형근 경희대 로스쿨 교수는 “로스쿨 초창기부터 상담센터를 만들어 큰 규모로 운영을 해왔지만, 인건비 부담에 현재는 규모를 축소 운영한 상태”라고 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에 대한 정신건강 지원 필요성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운영은 계속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외대 로스쿨 역시 상담센터 운영 없이 학기마다 심리상담 전문가를 초청해 강연을 열고 있다.

학생들에 대한 대한 지원에 학교별 차이가 발생하면서 관련 부처가 나서서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소영 부산대 로스쿨 교수는 “학생 교육을 전담하는 교육부, 혹은 인재를 직접 받을 법무부가 나서 직접적인 예산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ark.jiyeong@heraldcorp.com
k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