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 영종 골든테라시티 개발사업 앵커 역할할 명문 국제학교 유치 관심 집중
iH, 골든테라시티 내 글로벌 교육특구 조성 위해 국제학교 설립 주목
향후 영종구 위상에 걸맞는 퀄리티 높은 도시 인프라 구축 형성 때문
인천경제청, 국제학교 유치 공모 이달 안에 진행
기존 교육부지 쪼개 상업용도로 변경해 개발이익 만들어 주는 공모인가 우려
영종 주민, 학교 면적 축소된다면 또 다시 반발 예상
인천경제청 내부에서도 개발업자 방식은 ‘합당치 않다’라는 여론 돌아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국제도시 북단에 조성될 ‘골든테라시티’ 개발사업 부지 전경.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iH(인천도시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영종국제도시 골든테라시티 개발사업에 앵커 역할을 할 국제학교 유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있는 명문 국제학교가 유치되는냐에 따라 개발이 부진한 골든테라시티 조성사업의 개발이 촉진되고 글로벌 교육특구 조성은 물론 향후 영종국제도시가 독립구(영종구)가 되면 그 위상에 걸 맞는 퀄리티 높은 새로운 도시 인프라 구축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영종 골든테라시티 개발사업의 수준 높은 신도시 조성에 걸맞게 앞서 송도국제도시 내 국제학교(영국 해로우스쿨)를 직접 선정해 유치(양해각서 체결)한 것 처럼 영종도 마찬가지로 명성 있는 명문 국제학교를 직접 선정하면 되는데 굳이 이달 안으로 공모를 통해 국제학교를 유치하려고 해 과연 제대로 된 국제학교가 설립될 수 있을지 공모 방식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초 인천경제청은 영종 국제학교 유치에 대해 학교를 직접 선정해 학교가 주도적으로 개발하는 방식이 아닌 그동안 사례가 없었던 기존의 학교 교육부지를 나누어 상업용지로 변경해 개발업자에게 개발이익을 만들어 주는 방식으로 공모를 추진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학교 부지 존치 및 학교 주도 개발방식을 주장해 온 영종 주민들의 입장과는 정반대여서 만약 공모 방식이 개발업자 주도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또 다시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26일 iH(인천도시공사)에 따르면 영종국제도시 북단에 위치한 골든테라시티(Golden-Terra City, 구 미단시티)’에 계획인구 2만5000명의 복합형 도시로 조성하는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iH는 인천시 중구 운복동 일원 273만㎡(82만평) 부지에 레저·엔터테인먼트·비지니스·웰빙·교육·의료·주거 등이 조화를 이루는 ‘All-in-one City’로 개발하는 골든테라시티 조성을 위한 개발 용역을 지난 4월 발주한 상태이다.

iH는 ‘사람이 살고 싶고, 일하고 싶고, 기업의 투자가 활발해지고 관광객이 방문하고 싶은 도시’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목표로 당초 계획인구 약 1만4000명을 2만5000명까지 늘릴 수 있도록 상향해 승인받았다.

이를 위해 인천시 2040도시기본계획상 구 미단시티(골든테라시티) 인구를 근거로 미매각 유보지와 상업용지 중 일부를 주거용지로 변경해 상주인구를 늘리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특히 경제자유구역의 기본취지에 걸맞게 수준 높은 글로벌 교육인프라 형성을 위해 세계적인 명문 국제학교 유치에 따른 3만평 규모의 학교 교육부지를 마련했다.

현재 인천경제청이 추진하고 있는 국제학교 유치와 관련, iH는 골든테라시티에 앵커 역할을 할 국제학교 유치로 인한 글로벌 교육특구를 중심으로 퀄리티 높은 도시 인프라를 구축해 오는 2026년 7월부터 영종이 현재의 중구에서 영종구로 독립하는 인천시의 행정개편 시행 예정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골든테라시티가 되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의 기대감이 크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명문 국제학교가 유치돼야만이 iH가 구상하고 있는 골든테라시티가 조성되기 때문이다.

당초 인천경제청은 iH 소유의 학교 교육부지 3만평 가운데 1만평을 상업용지로 바꾸어 개발업자가 주도하는 개발방식으로 추진해 국제학교를 유치하려다 영종 주민들로부터 비난을 샀다.

지난 6월 인천경제청의 국제학교 유치 사업설명회에서 영종 주민들은 3만평의 학교 교육부지 일부를 상업용지로 변경해 이를 개발업자가 주도하는 개발방식을 반대하면서 크게 반발하자, 인천경제청은 지난 8월 ▷제1안 학교 주도 개발방식과 ▷제2안 개발업자 주도 개발방식 중 한가지를 택일하는 고시공고를 내고 참여가 가능한 국제학교 의견을 조회했다.

이 결과, 2개 학교로부터 1안을 선호한다는 의견서와 2안을 선호한다는 3개 개발업자의 의견서를 각각 접수받았다.

이에 지난 9월 인천경제청장이 개발업자 주도 방식인 2안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고 현재 2안으로 이미 의견서를 낸 개발업자들이 포기한 상황으로 알려져 1안에 대한 2개 국제학교의 의견서만이 남은 상태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인천경제청은 영종 주민들이 원하는 학교 주도 개발방식 중심의 공모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학교 교육부지를 나누어 개발하는 기존의 방식 그대로 공모를 진행하는 것인지에 대한 공모 방식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김성호 IFEZ글로벌시민협의회 회장(영종국제학교 시민추진위원회)은 “영종 주민들이 주장하는 학교 주도 개발방식(제1안)에 참여 국제학교가 있는지 고시공고를 통해 알아본 결과 2개 학교가 있는데 만약 이를 무시하고 인천경제청의 당초 주장대로 개발업자 주도 개발방식으로 비중을 두어 공모를 추진한다면 고시공고는 주민 반발을 잠재우기 위한 형식에 불과한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송도국제도시처럼 국제학교를 경제청이 직접 국제학교를 유치하면 될 간단한 문제를 유독 영종만이 국제학교 유치를 공모를 통해 진행하려는데 대해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만약 개발업자가 낀 방식으로 국제학교를 유치하는 공모가 추진된다면, 이는 피치 못할 경제청의 불가피한 입장이 분명히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또 다른 시각이 형성되면서 경제청 내부에서 조차 영종 국제학교 유치는 개발업자 주도 개발방식은 합당하지 않다라는 여론이 공무원들 사이에서 전해지고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국제학교 참여 의견서를 받은 1,2안 고시공고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공모 내용은 밝힐 수 없고 다만 1,2안의 장점들을 살려 이달 안으로 공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영종 주민들은 지난해 5월 인천시장 지방선거 당시 유정복 인천시장과 합의한 제대로 된 국제학교 유치를 위한 약속이 이행되지 않고 있다면서 유 시장이 명문 국제학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직접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