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손주 용돈주며 살려면 월 369만원은 있어야”…연금이 주요한 ‘돈줄’[KB골든라이프보고서]
전문가들 “노후자금 마련에 4층연탑 쌓아야”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한국인이 은퇴 후 노후에 경제적으로 적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369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가구 수입과 지출, 저축 등을 고려해 준비할 수 있는 액수는 적정 생활비의 절반 수준인 212만원에 불과했다. 또 이중 대부분은 연금으로 조달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금융그룹이 세 번째 발간한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조사 결과가 담겼다. 이 보고서는 서울을 비롯해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0~7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생활 준비 진단, 노후 경제적 준비 진단 등을 담았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노후에 기본적인 의식주 해결을 위한 비용인 ‘최소생활비’로는 월 251만원을 생각했다. 하지만 그 외 여행·여가활동·손자녀 용돈 등을 줄 수 있는 ‘적정생활비’로는 월 369만원을 생각했다.

출처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

이는 펜데믹 이전에 비하면 크게 늘어난 규모다. 5년 전인 2018년에는 응답자들이 최소생활비를 184만원, 적정생활비를 263만원으로 생각했다. 2018년에는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가 79만원밖에 차이나지 않았지만 2023년에는 그 차이가 118만원으로 늘었다.

특히 은퇴전 가구는 매월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로 각각 256만원과 374만원을 예상해 은퇴후 가구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은퇴후 가구는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로 각각 203만원, 308만원을 답했다. 보고서는 은퇴전가구가 응답한 생활비가 더 큰 이유는 노후생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실제 가구가 소득과 지출, 저축 여력 등을 고려할 때 노후 생활비로 준비할 수 있는 규모는 최소생활비인 251만원에도 훨씬 못미치는 212만원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적정생활비(369만원)에 비하면 57.6%밖에 해당하지 않는 금액이었다.

조달가능금액도 은퇴 전과 은퇴 후간 금액 차이가 있었는데, 은퇴전 가구의 조달가능금액이 210만원으로 은퇴후가구(월 239만원)에 비해 20만원 가량 적었다. 보고서는 “은퇴전가구가 은퇴후가구보다 현재와 미래의 노후 준비 여견에 대해 비관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출처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

한편 응답한 이들의 노후생활비는 ‘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비 조달 수단으로 가장 많이 꼽은 방법은 ‘국민언금(86.8%)’이었고, 뒤이어 ‘개인연금(58.7%)’, ‘금융소득(55.9%)’, ‘퇴직연금(54.1%)’, ‘사학·군인·공무원연금(49.1%)’ 등의 순이었다. 부동산을 소유해야 하는 ‘주택연금(23.2%)’과 ‘부동산임대소득(35.1%)’은 상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꼽은 경우가 적었다.

반면 ‘정부나 가족 지원’을 조달 방법으로 고려한 가구는 33.6%에 불과했다.

또 앞서 언급한 노후생활비 조달가능액 212만원에 대해서는 ‘국민연금’이 38.5%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그 외 사학·군인·공무원연금과 퇴직·개인·주택연금을 합한 ‘연금’으로 65.6%를 조달할 계획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적연금은 가구의 대부분인 91.6%가 보유하고 있었고, 52.3%는 퇴직연금을, 39.7%는 개인연금의 하나인 세액공제 가능연금을, 23%는 세액공제 불가능연금을 가지고 있었다. 또 부모자녀가구가 1인가구나 부부가구에 비해 연금 보유율이 높았다.

이 보고서는 “은퇴전문가들은 노후자금 마련 전략으로 3층 또는 4층 연금 탑을 거론한다”며 “1층은 국민연금과 사학·군인·공무원연금 등의 공적연금, 2층은 퇴직연금, 3층은 개인연금을 의미하며 4층에는 주택연금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