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기硏 “K-에너지로 해외 공략” 초융합 R&D구축 등 혁신안 제시
‘시장중심 성과확산’ 패러다임 전환

“전 세계 에너지 시장은 환경·안보·가격이라는 3중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강점을 지닌 수소, 대용량에너지저장, 탄소중립 분야 기술혁신을 통한 ‘K-에너지’로 해외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입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연)의 이창근(사진) 원장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K-에너지’로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이라는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초융합 R&D 체계 구축’, ‘초격차 연구환경 조성’ 등을 골자로 한 혁신방안을 제시했다.

‘K-에너지로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은 기존의 기술 중심적 사고에서 시장 중심적 관점으로 성과 확산의 패러다임을 전환, 연구원이 보유한 기술과 시장이 원하는 기술의 시차를 극복하고 대형 성과를 창출해 해외 시장을 겨냥하겠다는 이 원장의 포부가 담겨있다.

이 원장은 “그동안 에기연에서는 수소, 태양광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연구를 수행해왔지만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형 연구성과 창출에는 어려움을 겪어 왔다”면서 “K-에너지는 초융합·초격차 기술로 시장과 기술과의 시차를 극복, 시장이 요구하는 상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K-에너지 구현을 위한 초융합 R&D 체계 구축은 기술의 융합·사람의 융합·시장과의 융합을 통해 대형성과 창출의 기반을 마련한다.

이 원장은 “과제 기획 단계부터 시장성을 갖춘 사업화 연계기술 개발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에기연이 보유한 다양한 에너지 기술을 분야별로 패키지화해 신시장을 창출하고 국산화 시장에도 진출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또 시장과 융합을 위해 기업과 연계한 시장 적기 진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에기연이 보유한 기술과 시장이 원하는 기술의 시차를 분석하고, 간극을 줄이기 위한 시장 적기 진입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원의 기술을 세계 시장으로 진출시키기 위한 해외 사업화 기반 구축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초격차 연구환경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연구 수월성을 유지하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시장 중심적 관점을 도입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기술적 관점을 탈피하고 시장 중심적 관점을 도입하기 위해 대기업 CEO·CTO급이 참여하는 시장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이 원장은 “앞으로 국민 모두가 자부심을 가질만한 대형 성과를 창출하고 해외시장에 진출해 에너지 삼중고 해결은 물론, 미래 국가 신성장동력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