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너무 맛있다”…‘급식러’ 감탄케 한 뜻밖의 쉐프, 누구길래

22일 오전 서울 성북구 숭곡중학교 급식실에서 급식 로봇이 조리를 하고 있다. 급식실 노동자가 발암물질로 인해 폐 건강이 악화한다는 지적에 도입된 급식 로봇은 국과 탕, 볶음, 유탕 등 온도가 높고 위험했던 조리 업무를 사람을 대신해서 한다.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서울 성북구 숭곡중학교에 도입한 급식 로봇의 조리 과정을 22일 공개했다.

숭곡중학교는 올해 2학기부터 급식 로봇이 만든 학교 급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지난 8월 전국에서 처음 숭곡중에 도입된 급식 로봇은 총 4대로, 이날 이 '로봇 쉐프'들은 조리사, 영양사와 함께 오전 8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총 720인분의 식사를 만들었다.

이날 메뉴는 양념통닭 갈비맛과 쇠고기탕국, 볶음밥이었다. 2미터가 넘는 이 거구의 요리사들은 180도가 되는 펄펄 끓는 기름 안에 치킨을 넣고, 치킨이 담긴 통을 큰 손으로 잡아 경쾌하게 튀겨냈다. 튀기기가 끝나자 통을 쭉 뻗어 집고 트레이에 오차없이 올렸다.

로봇들은 조리원이 손질한 음식 재료를 받아 튀기고 끓이고 섞고 볶는다. 이 학교의 기존 7명의 조리사와 영양사는 그대로 일하고, 로봇은 온도가 높고 위험한 볶기, 국 만들기 등 좀 더 위험한 일을 담당한다.

로봇은 아침마다 각 메뉴에 맞춘 매뉴얼 입력으로 그날그날의 '지시'를 받는다. 사람이 회전방향, 회전속도, 온도 등 로봇의 오늘 일과를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손웅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성북구 숭곡중학교 급식실에서 전국 최초로 도입된 급식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

급식 로봇은 서울시교육청이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한국로보틱스의 도움을 받아 공동 개발했다. 로봇에는 사람이 접근하면 센서가 동작을 감지해 속도가 느려지거나 멈추는 등의 안전 장치도 장착됐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급식실 노동자가 조리흄(조리 중에 발생하는 미세분진) 등 발암물질로 인해 폐 건강이 악화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10억원을 들여 급식 로봇을 제작했다.

로봇 쉐프가 만든 요리를 맛 본 학생회장 조형찬 군은 "너무 맛있다"고 감탄했다. 그는 "급식실 아주머니들의 손맛이 안 들어가서 맛이 없을 줄 알았는데 로봇이 고수처럼 잘 만들어줘서 더 맛있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부회장 한다희 양도 "튀김은 예전보다 더 맛있어진 것 같다. 예전에는 바삭함의 차이가 있었는데 이제는 전체적으로 다 바삭바삭하다"고 칭찬했다.

서울시교육청이 이 학교에 근무하는 급식실 종사자 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83%가 근무 여건 개선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또 86%는 기존 대비 25∼30% 업무가 경감됐다고 답했으며, 85%는 사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날 급식실에서 만난 김혜영 영양사도 기존에 가장 힘들었던 튀김 작업을 로봇이 대신 해 조리사들도 만족한다고 말했다.

이은영 서울영양교사회장도 조리과정을 견학한 뒤 "지금 학교 현장에서 조리원을 구하기가 어렵다. 일이 힘들고 조리원들이 나이가 많아 한꺼번에 퇴직해 그렇다"며 "급식 로봇이 들어와서 인력난의 숨통이 트일 것 같다"고 기대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날 현장에서 취재진에게 "조리 종사원 인력이 부족한 학교를 중심으로 (급식 로봇이 도입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better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