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국방성, 韓美 SCM 비난하며 “가시적 군사행동” 위협
北, SCM 첫 반응…신형 IRBM·정찰위성 도발 가능성
“군사적 충돌 없는 것은 공화국 무력 대응태세 때문”
북한 국방성은 1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개 공개한 대변인 담화에서 최근 한미 국방장관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를 빌미로 향후 가시적인 군사행동에 나서겠다고 위협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13일 SCM 의장행사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은 최근 한미 국방장관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를 빌미로 향후 가시적인 군사행동에 나서겠다고 위협했다.

북한 국방성은 1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대변인 담화에서 “미군부 당국자들의 괴뢰지역 행각은 조선반도(한반도) 지역의 정세 격화를 초래하는 주범이 다름아닌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라는 것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방성은 “미제 호전광들과 그 추종무리들은 우리 공화국에 대한 핵선제타격을 노린 ‘맞춤형 억제전략’을 개정하고, 미·일·괴뢰 3자 사이의 실시간 미사일정보공유체계를 연내 가동하기로 합의했다”며 “로널드 레이건호 핵항공모함 타격집단을 괴뢰지역에 끌어들이면서 극도의 대결광기를 부렸다”고 비난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SCM을 계기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문서인 ‘맞춤형 억제전략’(TDS)을 10년 만에 개정했다.

전략문서로 군사기밀이기 때문에 세부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북한의 핵·미사일 사용 가능성에 대비해 미국의 핵 능력과 한국의 첨단 재래식 전력 통합 등 한미동맹의 모든 능력을 활용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한미일은 국방장관회의를 갖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정보를 3국이 즉시 공유하는 시스템을 연내 개시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국방성은 “적대세력들은 저들의 대조선 군사적 태세가 결코 방위적인 것이 아니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무력침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드러내보였다”면서 “조선반도 지역에서 수사적으로나 행동적으로 군사적 긴장 수위를 일방적으로 끌어올리는 행위자가 바로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조선반도에서 군사적 대립이 위험한도를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군사적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전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이 강력한 대응태세로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군사적 준동을 철저히 억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국방성은 그러면서 “그 어떤 도발행위에 대해서도 단호히 반격하며 나라의 영토완정을 믿음직하게 수호해나갈 만반의 임전태세를 유지하는 것은 우리 군대의 숭고한 사명”이라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은 보다 공세적이고 압도적인 대응력과 가시적인 전략적 억제 군사행동으로 국가의 안전이익에 대한 온갖 위협을 강력히 통제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이날 담화는 SCM에 대해 그동안 침묵을 지켜오다 보인 첫 반응이다.

북한이 SCM을 빌미로 공세적이고 가시적인 군사행동을 위협하고 나선 만큼 최근 신설한 오는 18일 ‘미사일 공업절’ 등을 전후해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이미 세 번째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한 상태이며, 최근 고체연료엔진 지상분출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힌 만큼 조만간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시험발사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