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9월 통화량 18조원 늘어…4개월 연속 증가세
수익증권·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증가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우리나라 통화량이 넉 달째 증가했다. 요구불예금과 금전신탁이 줄어든 반면, 수익증권과 MMF,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3년 9월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9월 광의통화(M2) 평균잔액은 3847조6000억원으로 8월보다 18조1000억원(0.5%) 증가했다. 6월 증가 전환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세로, 증가율도 전달(0.2%)보다 상승했다.

M2 규모는 지난해 9월에 비해서도 2.5% 늘어났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역시 전월(2.2%)보다 높아졌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이상 협의통화, M1)과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9월 M2를 금융상품별로 보면 수익증권이 한 달 전보다 9조4000억원, MMF가 8조1000억원,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이 3조6000억원, 시장형삼품이 3조4000억원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증권은 금리 연동형 상장지수펀드(ETF) 등 파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를 중심으로 증가했고, MMF와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은 주식시장 관망세 확산, 금리 상승 기대로 늘어난 투자 대기자금이 유입되면서 증가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시장형상품은 금융기관이 적극적인 자금 조달 노력을 기울이면서 양도성예금증서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반면 요구불예금은 전달보다 5조2000억원, 금전신탁은 3조6000억원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6조9000억원, 기타금융기관이 6조원 늘었으며 기업(+1000억원) 및 기타부문(-355억원)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제공=한국은행]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만 포함하는 협의통화(M1)의 9월 평잔은 1184조9000억원으로 요구불예금이 줄며 한 달 전보다 1조2000억원(-0.1%) 감소했으나 감소폭은 전월(-2조8000억원)에 비해 축소됐다.

M1은 1년 전과 비교해도 10.0% 줄며 13개월 연속 축소됐다.

9월 금융기관유동성(Lf) 평잔은 5262조3000억원으로 전달보다 0.3% 증가했고, 광의유동성(L) 말잔은 6621조9000억원으로 0.2% 감소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