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통령까지 총대 메고 나선 공매도 금지…물 들어왔다, 개미들 노 저어라? [투자360]
尹 “근본적 개선 전까지 금지”
불법공매도 따른 공정가격 형성 논란 지적
이달 들어 개인들 국내주식 2조 넘게 순매도
윤석열 대통령 [연합·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만들어낼 때까지 공매도를 금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 "불법 공매도 문제를 더 방치하는 것은 공정한 가격 형성을 어렵게 해 개인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입힐 뿐 아니라 증권시장 신뢰 저하와 투자자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일각에서는 이번 공매도 금지 조치로 MSCI 선진지수 편입이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한다"며 "그러나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증권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개인투자자 비중도 높아 장기적으로는 우리 증권시장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길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윤 대통령이 직접 공매도의 기한 없는 금지를 천명한 만큼 개인 투자자들은 당분간 외국인의 공매도 리스크로부터 자유롭게 됐다.

한편, 최근 공매도 금지 등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국내 주식을 2조원 넘게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주식 등 해외주식은 대거 순매수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10일까지 개인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2조2000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지난달 개인 투자자들은 2조2000억원어치 순매수했으나, 이달 들어 순매도 전환했다. 이로써 개인 투자자들은 지난 6월 이후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이어오던 순매수세를 멈췄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같은 기간 국내 투자자들은 해외 주식을 2억7900만달러(약 3684억원) 순매수해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황수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가 이달 들어 변동성이 컸던 반면, 미국 주식 등 해외 주식은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고 기업들 실적이 뒷받침돼 개인 투자자들이 더 선호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해외 주식 가운데 미국 주식을 2억달러(약 2641억원) 순매수해 가장 많이 순매수했으며, 중국 주식 순매수액은 2800만달러(약 369억원)로 미국 주식 다음으로 많았다. 일본 주식은 2000만달러(약 264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이달 들어 중국 주식 순매수액은 지난달(14만달러·약 1억8천만원)의 200배에 달하며 지난 3월 이후 8개월 만에 일본 주식 순매수액을 넘어섰다.

이에 중국 주식 순매수액이 전체 해외주식 순매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달 0.04%에서 이달 10%로 커졌다.

백찬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주식은 그동안 하락세가 컸던 만큼 추가적인 조정이 나오기 힘들 것이라는 인식 등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고,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 등에 대한 기대감 등이 매수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10일 기준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3,038.97로 연초(3,116.51) 대비 2.4% 하락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 증시의 반등 모멘텀이 아직 부족하다며 보수적인 접근을 권했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정책, 미중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이달 들어 중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축소되고 있다"면서도 "다만 중국 내수 소비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증시 반등 모멘텀이 아직 부족해 반도체, 바이오 등 테마·종목 중심의 제한적인 접근을 권한다"고 밝혔다.

최원석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시장은 실물지표 경계감 속에도 증시 바닥론에 힘이 실리며 투자 심리가 뚜렷하게 개선됐다"면서도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경기회복 지연 우려가 여전히 상존해 중국 증시는 강한 반등보다 반도체, 헬스케어 등 특정 테마 위주로 수급이 집중되는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