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월세 130만원에도 MZ 몰리는 홍대 원룸
리테일·주거·오피스 한곳에
복합문화공간 ‘누디트 홍대’
장기임대 객실 공실률 0%
주거시설 크리에이터타운 서교 장기 임대용 G타입룸 내부 모습. 신혜원 기자

홍대입구역 1번 출구로 나와 10분쯤 걷다보면 저층부의 붉은색 벽돌과 고층부의 회갈색 외관의 대비가 눈에 띄는 7층 규모 건물이 나타난다. 언뜻 봐선 용도를 쉽게 추측하기 어려운 이 건물은 리테일·오피스·주거를 한 곳에 담은 복합문화공간 ‘누디트(NOUDIT) 홍대’다. 1인 가구가 함께 살고 일하며 성장하는 연결의 공간을 지향하는 누디트 홍대는 지역 교류의 장이자 로컬문화의 거점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 8일 찾은 누디트 홍대는 입구에 선큰(Sunken) 광장을 설치해 개방감이 느껴졌다. 광장을 둘러싼 ‘ㅁ자’ 구조의 중정형 건물은 지하 2~3층 주차장, 지하 1층 커뮤니티시설, 1층 상업시설, 2층 공유 오피스, 3~7층 주거시설 등으로 구성돼 있다.

누디트 홍대의 총괄 PM사인 라이프스타일 디벨로퍼 네오밸류는 1층 상업시설을 직접 운영하고, 주거 및 오피스 공간은 라이프스타일 멤버싯 플랫폼 ‘로컬스티치’와 협업했다. 누디트 홍대 내 주거·오피스 시설은 ‘크리에이터타운 서교’라는 명칭으로 로컬스티치가 운영을 맡았다.

현재 1층 상업시설에는 커피 전문 브랜드 ‘테라로사’, 워크 앤 라이프스타일 가구 브랜드 ‘데스커’ 등 라이프스타일샵이 입점해 있다. 앞으로 합정·연남·망원 등 마포구 일대에서 활동하는 로컬 브랜드를 유치해 방문객들이 프랜차이즈 중심 상권에서 만나기 어려운 홍대 문화를 누디트 홍대에서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네오밸류의 구상이다.

서울 마포구 서교동 ‘누디트 홍대’의 크리에이터타운 서교 공유오피스 모습. 신혜원 기자

김신희 네오밸류 자산관리부문대표는 “기존의 디벨로퍼는 분양을 하고 사업에서 빠지는 형태로 진행한다면 네오밸류는 라이프스타일 커뮤니티를 구성하기 위한 콘텐츠를 공급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누디트 홍대 내 크리에이터타운 서교의 경우 총 296가구 규모로 장기임대·단기임대 각 50%씩 운영하고 있다. 장기임대용 객실은 모두 1인실로, 단기임대용 객실은 모두 2인실로 구성돼 있다. 대학가 인근에 위치한 만큼 청년층, 창업가, 프리랜서 등 2030세대를 비롯해 외국인 거주자도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는 전언이다.

이날 크리에이터타운 서교의 장기임대용 3가지 룸타입 중 A·G타입을 둘러봤다. 가장 면적이 큰 G타입(전용면적 18.5㎡)와 전용면적 16㎡ A타입 모두 ‘미니멀리즘’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는 원룸 형태였다. 기본 옵션은 침대(매트리스·프레임), 모듈형 책상 및 의자, 선반 3개, 냉장고 등으로 간단하다. 방 내부에 주방은 제외돼 있어 지하 1층 공용주방을 활용해야 한다. 로컬스티치 관계자는 “이용객들의 모든 라이프스타일을 충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의 가구를 제공하고 나머지는 각자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비용은 G타입이 3개월 미만 거주시 보증금 50만원에 월세 136만원, 3개월 이상 거주시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 113만원 수준이다. 보증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월세만 놓고 봤을 때 방 크기 대비 저렴한 가격은 아니다. 다만 월세에 공용공간 이용료, 전기세, 수도료 등 고정 관리비, 로컬스티치 멤버십 이용료(12만원) 등이 포함돼 있다.

누디트 홍대에는 ‘코리빙(Co-living)+코워킹(Co-working)’의 한 축을 담당하는 공유오피스가 자리해 있다. 고정석을 이용하기 위해선 입주멤버라면 월 20만원, 입주멤버가 아니라면 월 35만원의 비용을 내야 한다.

로컬스티치 관계자는 “1인 창작자, 스타트업 초기 멤버들이 주로 오피스를 사용하고 있다”며 “현재는 쾌적한 오피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서 운영하고 있지만 향후에는 오피스 멤버들 간의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 같은 복합문화공간 누디트 홍대를 개발한 네오밸류는 올해 성수동에도 이같은 시설을 오픈한다는계획이다. 김신희 대표는 “누디트 홍대는 홍대의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공간으로 MZ세대 주거의 새로운 스탠다드가 되는 공간으로 조성할 것”이라며 “복합문화공간 플랫폼 누디트를 통해 각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고 도시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신혜원 기자

hwshi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