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종이 빨대 사장들 집회 연다…“정부 발표에 업체들 줄도산 위기”
오는 13일 환경부 인근 집회 예정
종이 빨대 업체들 “현장 현실 고려 안한 면피용 정책” 비판
지난 7일 서울 시내 한 카페에 놓여있는 플라스틱 컵과 빨대들. [뉴시스]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종이빨대 업체들이 플라스틱 빨대 규제를 재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집회를 연다. 정부 방침에 따라 앞으로 매장에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이 허가되면서 대체 용품으로 쓰이던 종이빨대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종이빨대 판매 업체들은 전날 보도자료를 내고 오는 13일 환경부 북문 건너편 체육관 앞 인도에서 집회를 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환경부는 ‘종이 빨대 등 대체품 품질이 개선되고, 가격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생산업계와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발표했지만, 현재 종이 빨대 생산 현장은 생사의 기로에 서 있다”며 “현장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 면피용에 불과한 발표에 종이 빨대 제조업체와 판매업체는 다시 한 번 울 수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환경부 발표에 앞서 지난 달 17일 종이 빨대 업체들이 일회용품 사용규제의 정상 시행 여부에 대해 문의차 환경부에 방문했을 당시 (환경부) 담당자가 원래 계획대로 일회용품 사용규제를 시행한다고 말해놓고, 정작 발표날에는 손바닥 뒤집듯이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연장했다”고 비판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 7일 식당, 카페 등 식품접객업과 집단급식소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 금지 조처를 철회하기로 했다.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와 젓는 막대 사용 금지 조처에 대해서도 계도기간을 사실상 무기한 연장했다.

이에 대해 종이 빨대 판매 업체 한지만 누리다온 대표는 “지금 당장 누구 하나 목매달아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당장 다음 달 대금 못 막아서 부도나면 종이 빨대 생산 설비에 압류 딱지가 붙는다. 그럼 종이 빨대 생산 자체를 못 하는데 무슨 품질 개선이 되느냐”며고 반문했다.

또 다른 종이 빨대 판매법인 이상훈 유온인터내셔널의 대표는 “우리도 똑같은 소상공인이다. 정부 발표에 맞춰 5년 동안 제도가 시행될 날만 기다렸다”고 말했다. 이어 “발표 이후 종이 빨대 주문은 끊겼고 반품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며 “더구나 종이 빨대 가격도 플라스틱 빨대에 맞춰 내려가는 상황이었고, 이대로 제도가 시행됐다면 생산량이 많아져 소비자들에게 더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었다”고 지적

yckim6452@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