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루 2000대 생산차질’ 기아광주공장 사흘째 가동중단
협력업체 작업중지 해제 심의
‘하루 2000대 생산차질’ 기아광주공장 사흘째 가동중단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기아 오토랜드 광주공장의 완성차 생산 차질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기아 광주공장이 협력 업체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여파로 공장 가동이 중단된 것은 처음 있는 일로 하루 2000여대의 완성차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기아 오토랜드 광주는 9일 안전사고가 발생한 협력업체에서 부품 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공장 가동이 3일째 중단되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공장 관계자는 "조업 재개에 대비해 전 임직원이 출근해 대기 중에 있으며 부품이 공급되는 대로 공장을 가동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협력업체 안전사고는 지난 7일 오전 광주 북구의 한 제조업체에서 40대 직원이 지게차에 깔려 숨지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승용차 차체를 생산하던 협력업체 조업이 중단되면서 기아차 광주공장에 대한 부품 공급도 차질을 빚었다.

이 여파로 광주공장의 전면 가동 중단은 물론 일부 협력 업체도 부품 생산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 광주공장의 지역 내 1, 2차 협력업체는 각 50여개와 100여개 등 모두 150여곳으로 임직원은 1만여명에 달한다.

완성차 공장의 조업 중단이 장기화하면 1, 2차 모든 협력업체도 순차적으로 가동을 멈추게 돼 지역 경제계에 미치는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광주고용노동청은 이에 따라 사고 업체의 작업 중지 해제 신청서를 제출받은 지 만 하루도 되지 않아 이날 작업 중지 해제심의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심의위는 재발 방지 대책을 포함한 협력업체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 계획 등을 검토해 작업 중지 명령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심의 결과에 따라 곧바로 사고 업체의 조업이 재가동될 수 있다.

광주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작업 중지 해제 신청서가 들어오면 최대한 신속하게 심의위원회를 열고 있다"며 "해당 사업장의 조업 중단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했다"고 말했다.

광주공장은 수출 주력 차종인 스포티지를 비롯해 셀토스, 소올, 봉고 트럭 등을 하루 평균 2천여대 생산하고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