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7개 금융복합그룹 자본적정성 비율 상승…교보 ‘1위’
6월말 평균 196.6%…전년말 대비 9%p↑
보험업계 K-ICS 도입에 교보·DB·한화 등 증가
[123RF]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올해 보험업계에 새로운 건전성 제도가 도입된 영향으로 상반기 중 교보·한화 등 주요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 발표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삼성·한화·교보·미래에셋·현대차·DB·다우키움 등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96.6%로, 지난해 말(187.6%) 대비 9.0%포인트 상승했다.

자본적정성 비율은 금융복합기업집단이 최소 자본요구기준과 위험가산자본을 더한 통합필요자본 이상으로 손실흡수능력(통합자기자본)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보는 지표로, 100%를 넘어야 한다.

상반기에는 보험권의 지급여력비율(K-ICS) 도입 영향으로 보험계열 기업집단의 자기자본이 필요자본보다 더 크게 증가하면서 자본적정성 비율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K-ICS 도입으로 신규 보험위험(장수·해지·사업비·대재해 등) 추가 및 주식위험 증가에 따른 시장리스크 증가로 보험사의 통합필요자본이 증가했지만, 보험계약마진(CSM)의 가용자본 인정, 보험부채 시가평가 등으로 통합자기자본도 대폭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7개 기업집단의 자기자본은 지난해 말 121조1000억원에서 6월 말 176조5000억원으로 55조4000억원 증가하며, 같은 기간 필요자본 증가 폭(25조20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한화(95.7%포인트), 교보(69.0%포인트) 등 보험계열 기업집단은 자기자본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금융감독원 자료]

기업집단별 자본적정성 비율을 보면, 교보는 244.1%(경과조치 반영 후)로 무려 69.6%포인트 급등하며 전체 1위로 올라섰다. 삼성은 216.7%로 13.3%포인트 하락하며 2위가 됐다.

금융복합기업집단에 처음 포함된 다우키움은 216.0%로 3위였다. 이어 ▷DB 212.0% ▷한화 171.2% ▷현대차 159.5% ▷미래에셋 156.7% 순이었다.

교보(69.6%포인트), DB(46.1%포인트), 한화(22.4%포인트), 미래에셋(9.9%포인트)은 자본적정성 비율이 상승했다. 반면, 삼성(-13.3%포인트), 다우키움(-5.1%포인트), 현대차(-3.1%포인트) 등은 내렸다.

금감원은 “하반기 통화긴축 지속에 따른 금리·환율 변동성 확대 및 IFRS17 계리적 가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적용 등으로 인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실적 변동성도 확대될 것”이라며 건전성 및 자본적정성 비율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목표 자본비율 관리 등 기업집단 차원의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복합기업집단은 2개 이상의 금융업을 영위하고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인 그룹을 의미한다. 지난해 7월 다우키움이 신규 지정되면서 총 7개 기업집단으로 늘어났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