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만기 무협 부회장, 인도 투자청 면담…“韓 기업 애로 해소해달라”
정보 부족·복잡한 인증 절차로 韓 기업 위기
기존 기업들의 평판, 향후 추가 투자로 연결
한-인도 CEPA 업그레이드 협상 필요한 시점

정만기(오른쪽 다섯번째)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이 6일 인도 뉴델리에서 인도 산업 무역 진흥청 관계자들과 한-인도 경제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제공]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한국무역협회는 정만기 부회장이 지난 6일 인도 뉴델리에서 프리야 라와트 인도 투자청 대표 및 라제시 쿠마르 싱 인도 산업통상부 산하 산업무역진흥청 차관과 면담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만남에서 양측은 수교 50주년을 맞이한 한-인도 경제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정 부회장은 “인도 내 기존 한국 투자 기업의 애로 해소는 인도의 가장 중요한 투자 유치 전략일 수 있다”며 “인도 정부가 우리 기업의 경영 애로 해소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요청했다.

정 부회장은 ▷세무‧인증 등 정책에 대한 정보 부족 ▷복잡한 인증 획득 절차와 획득 지연 ▷연방 정부와 지방 정부 간 규정 차이 등으로 국내 기업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과 인도의 교역량은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발효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 기간인 2021년, 2022년에는 20%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정 부회장은 특히 인도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인도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2022년 인도의 대한(對韓) 무역적자 규모는 약 100억달러로, 이는 주로 인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한국산 부품 수입에 기인한다”며 “인도 진출 한국 기업은 현지에서 생산된 인도산 제품을 세계 각지로 수출하고 있고, 현지 고용을 창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무역적자가 인도 경제에 불리한 것만은 아니며 한국 경제뿐만 아니라 인도 경제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또 “한국 기업들은 양국 기업 간 무역, 투자 확대 등 경제 협력 증진을 위해서는 2010년 발효된 CEPA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한-인도 CEPA 재협상의 조속한 진전이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프리야 라와트 대표는 “인도 투자청은 기업의 투자 촉진, 스타트업 육성, 연구개발(R&D)과 기술 혁신, 무역 촉진 등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투자청 내 ‘코리아 플러스 사무소’ 운영을 통해 한국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의 애로 해소에 적극 나서겠다”고 화답했다.

라제시 쿠마르 싱 차관은 “인도 정부는 인증 담당 공무원의 한국 방문을 통해 한국 기업 애로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한국 기업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고 언급했다.

jiy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