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택근무 현저히 줄었다…“주요기업 10곳 중 6곳만 시행 중”
매출 50대 기업 대상 설문
응답기업 64.5%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

서울 시내에 주요 기업들이 밀집된 모습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 코로나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으로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대기업 수가 줄어들어 현재는 10곳 가운데 6곳 정도가 이 제도를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매출 상위 50대 기업(공기업 제외)을 대상으로 지난 9월 ‘재택근무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 31곳 중 58.1%가 ‘현재 시행 중’이라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와 비교해 재택근무 시행기업이 크게 줄어든 것이라고 경총은 설명했다.

현재 ‘재택근무 미시행’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1.9%였다. ‘코로나19 이후 시행한 적은 있지만 지금은 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은 38.7%, ‘지금까지 시행한 적이 없다’는 기업은 3.2%였다.

재택근무를 운영 중이라고 해도 과거 코로나19 시기에 비해 그 규모는 감소했다.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기업 가운데 61.9%는 ‘필요 인원을 선별하거나 개별 신청’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고 했으며, 재택근로자를 일정 비율 정해놓고 부서·팀 단위로 운영하는 ‘교대 순환형’과 ‘부서별 자율 운영’ 방식을 택했다는 기업은 각각 19%였다.

재택근무 확대 전망에 대해 응답 기업의 64.5%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답했다. 이어 ‘코로나19 이전보다는 확대될 것이나 제한적’(25.8%), ‘향후에도 지속 활용·확산’(9.7%) 등의 순이었다.

재택근무를 축소 또는 중단하는 과정에서 직원들이 부정적 반응을 보인 기업도 절반가량에 달했다.

‘반대가 거의 없었다’는 응답이 50%로 가장 많았지만 ‘일정 부분 반대가 있었지만 정도가 강하지 않았다’고 한 기업은 36.7%, ‘강한 반대가 있었다’고 한 기업은 10%로 나타났다. 무응답은 3.3%였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코로나19로 크게 확산했던 재택근무가 현저히 축소됐다”며 “재택근무가 대면 근무를 대체하기보다는 업종, 직무, 근로자 여건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채택되는 제도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