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점점 커지는 고금리 영향…한은 "美 소비 회복 둔화될 것"
가계 초과저축 감소…이자 부담 커져
긴축 장기화 기대로 소비심리 위축
[사진=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긴축 정책에 따른 고금리의 여파가 확산되는 가운데, 미국 경제를 뒷받침해온 민간소비의 회복이 더뎌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22일 '해외경제포커스'에서 "그간 견조한 소비 회복을 뒷받침해왔던 요인이 앞으로는 점차 달라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임금 상승세는 다소 둔화하더라도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겠으나 가계 초과저축이 계속 줄어드는 데다 금리 인상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국의 고용 증가세 및 임금 상승세는 최근 완만하게 둔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흐름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한은은 예상했다. 기업 입장에서도 비용 상승, 고금리로 인한 신용 긴축, 재정 지원 감소 등으로 수익 증가세가 약화됨에 따라 추가적인 고용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다만 제조업 등 최근 임금 상승세가 낮았던 부문에서 임금 추격 가능성이 있고, 전반적인 임금 상승세가 물가 오름세를 웃돌면서 실질임금 상승률은 플러스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초과저축은 향후에도 가계소비 증가에 기여하겠지만 그 정도는 이전보다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지금까지는 초과저축을 소비로 상당 부분 활용함에 따라 8월 현재 가계 저축률이 3.9%로 팬데믹 이전 수준(6.2%)을 상당폭 하회했다. 하지만 잔여 초과저축의 상당 부분을 소득 상위 20%가 보유하고 있는데, 소득 상위층은 한계소비성향이 낮고 미래를 위해 자산을 축적하고자 하는 유인이 커 잔여 초과저축의 소진이 더딜 가능성이 있다.

[제공=한국은행]

아울러 앞으로는 고금리의 파급 영향이 시차를 두고 점차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최근 소비자신용을 중심으로 금리 인상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학자금대출 상환 재개로 이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기지대출 실효이자율의 경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착수 이후 약 30bp 상승한 데 그친 반면, 소비자신용의 실효이자율은 이미 400bp 이상 상승한 데다 앞으로도 소폭 추가 상승할 여지가 있다. 또 20~30대를 중심으로 신용카드 및 오토론 연체가 늘어나고 있어 취약층의 재무 상황이 악화되는 모습이다. 여기에 10월부터 재개되는 학자금대출 상환이 가계 원리금 부담을 높여 소비 증가세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한은은 "미국 민간소비는 미 연준의 긴축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임금 상승률의 완만한 둔화, 초과저축 소진 및 긴축적 신용 여건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라며 "최근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인한 고인플레이션 국면 지속 가능성과 이에 따른 통화 긴축 장기화 기대 강화 및 장기금리 상승 등으로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는데, 이는 소비심리를 추가적으로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