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형 전투기 ‘심장’ 챙긴 김동관 한화 부회장…“K-방산 넘어 K-스페이스”
ADEX2023 한화 통합관 운영
KF21 엔진, 스페이스 허브 존 참관
한화 핵심 기술 확보에 적극 투자
김동관(왼쪽) 한화그룹 부회장이 18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 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를 참관, 한화그룹 부스에 마련된 F414 엔진을 살펴보고 있다. [한화 제공]

[헤럴드경제=한영대 기자]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18일 “글로벌 시장의 우주 산업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대한민국 자체 기술 확보와 독자적인 밸류체인 구축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이날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의 한화 통합부스를 방문해 차세대 전투기 엔진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투기 엔진을 생산하는 한화가 방산의 국가전략 산업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항공기 엔진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다.

김 부회장은 이날 전시장을 방문해 한국형 전투기 KF21 심장인 F414엔진을 먼저 둘러봤다. F414 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GE의 라이선스 기술로 국내에서 면허 생산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40여년간 9800대 이상의 다양한 항공엔진을 생산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앞으로는 5세대급 유·무인기용 엔진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미 가스터빈 엔진 분야의 핵심소재 및 부품 국산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등 국내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나서고 있다.

김 부회장은 이날 스페이스 허브(Space Hub) 존(Zone)을 둘러보며 정부의 우주경제 로드맵에 맞춘 우주 기술 기반의 민간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한화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우주 발사체에서부터 관측·통신 위성, 탐사에 이르는 우주 사업 전반에 걸친 우주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향후에는 위성 관측 기술로 확보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한 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김 부회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K-방산처럼 우주·항공 산업 분야에서도 뉴 스페이스, K-스페이스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선, 우리 정부와 국민들의 적극적인 민간 산업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yeongda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