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금융권 고금리 예금 100조원 만기 시작됐다…금융당국, 점검 체계 가동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2금융권 고금리 예·적금 상품들의 만기 도래가 본격화 됨에 따라 금융당국이 과도한 재유치 경쟁을 막기 위한 비상 점검 체계 가동을 시작했다.

시장 금리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금융권이 작년과 같은 수신 금리 경쟁을 벌일 경우, 금융시장 유동성 불안과 금융사의 건전성 악화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18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이번 주부터 저축은행의 5~6%대 고금리 예금 상품들의 만기 도래가 시작된다. 금리 인상기 고금리 예금으로 수신을 확장한 저축은행권의 만기 도래가 올해 말까지 집중적으로 몰려있다.

상호금융권의 5~6%대 고금리 상품 만기도 다음 달부터 돌아오기 시작해 내년 1월까지 이어진다.

금융권은 작년 4분기에 늘어난 수신 규모를 100조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대규모 예금이 만기를 한꺼번에 맞는 만큼 금융사가 재유치를 위한 수신 경쟁에 나설 수 있다고 보고 경계하고 있다.

이미 수신 금리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저축은행권에서는 이달 들어 연 4%대 중반 금리를 제공하는 1년 만기 정기예금들이 대거 등장했다.

상호금융권에서는 새마을금고가 연 5%대 중반, 신협이 연 5%대 초반 예금 상품들이 이어지고 있다.

1금융권에서도 예금 금리를 연 4%대로 서둘러 높이고 있다.

이 같은 금융권의 수신금리 인상 경쟁은 조달 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대출 금리를 밀어올리는 데다가, 시중 유동성을 빨아들이는 ‘머니 무브’를 일으킬 수 있다.

금융당국은 고금리 예금 만기 및 재유치 현황과 금리 수준을 일 단위로 모니터링 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워낙 고금리에 자금이 몰렸던 터라 일정 부분 자금이 빠지는 건 오히려 2금융권 건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며 "다만 자금 이탈이 예상보다 지나치게 커질 경우 뭔가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금융위원회는 이번 달부터 은행권의 안정적인 자금 확보를 돕기 위해 은행채 발행 한도를 폐지했다. 채권 발행 통로를 열어 수신 경쟁을 자제하라는 취지다.

이와 함께 유동성 규제 비율인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비율 정상화 시점도 연기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내년 LCR 비율을 코로나19 이전인 100%까지 되돌리는 것을 검토해왔지만 정상화 시점을 늦출 필요가 있다고 봤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