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화큐셀 태양광 사업모델 변신 중…모듈에서 턴키 등으로 다변화”
저가 제품 공세 중국 맞서 차별화 전략
MS와 발전소 턴키 등 협력방안 논의
미국 태양광공장 추가 건설도 검토
박흥권 한화큐셀 미국 사업본부장. [한화솔루션 제공]

[헤럴드경제(레드몬드)=한영대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태양광 사업구조 다변화에 속도를 낸다. 태양광 모듈 판매에만 그치지 않고 태양광발전소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등 고부가가치 사업경쟁력을 키우는 것이다. 저가 태양광제품을 앞세운 중국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박흥권 한화큐셀 미국 사업본부장(사장)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레드몬드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 캠퍼스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패널 공급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소 건설 등 사업 영역을 넓혀가면서 중국 업체와의 경쟁에서 직접 노출되는 부분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하드웨어를 통해 창출되는 수익이 향후 전체 비중에서 절반으로 줄어들고, 2030년 이전에는 턴키 등을 통해 나오는 수익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큐셀은 태양광 모듈 생산·판매를 넘어 태양광발전소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등 수익모델 다변화를 구축하고 있다. 태양광발전소에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를 연계하는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단일 수익모델에 의존해선 안 된다고 판단해 사업구조 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사장은 “몇 년 전부터 태양광 모듈만 판매하는 사업구조는 부가가치를 최대화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며 “경험이 많은 턴키사업 전문가 등을 채용해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태양광 분야에서 한화큐셀과 가장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는 회사는 MS다. MS는 탄소중립을 넘어 탄소네거티브(감축)를 목표로 삼고 있다. 목표달성을 위해 올해 초 한화큐셀과 친환경에너지 확산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했다. 이번 협약으로 한화큐셀은 MS가 전력 구매계약할 태양광발전소에 2.5GW(기가와트) 이상의 모듈을 차례로 공급할 예정이다. 현재는 MS와 태양광 모듈 공급을 넘어 발전소 턴키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박 사장은 “MS가 하드웨어를 만드는 회사와 재생에너지 관련 파트너십을 맺은 이후 턴키 등 사업을 확대하려는 사례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성장하는 미국 태양광 수요에 대응하고자 공장 추가 건설도 검토한다. 그는 “미국에서 태양광 공장 추가 건설을 고려하고 있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밝혔다. 한화솔루션은 미국에 신규 태양광 공장 구축을 위해 3조2000억원을 투입한 바 있다. 올해 7월 준공된 모듈 생산라인 달튼 2공장에는 2000억원, 건설 중인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 카터스빌 공장에는 3조원을 투자했다. 다만 구체적인 시점에 대해서 한화큐셀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가 없다”고 했다.

정권교체 등 미국의 정치적 변수가 태양광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고 언급했다. 박 사장은 “재생에너지공장을 지으면서 혜택을 받는 지역에는 공화당을 지지하는 지역이 포함돼 공화당도 혜택을 받는다”며 “현금으로 제공하는 AMPC(제조업체가 미국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세제혜택)가 있기 때문에 미국에 투자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올해 상반기 한화큐셀 영업이익에는 총 508억원의 AMPC 영업이익이 반영됐다.

yeongda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