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확 줄어든 아파트 분양…9월까지 목표치 40% 수준[부동산360]
연간 민영 아파트 공급 목표의 44% 그쳐
총 분양실적 20만가구 못미칠듯
서울 시내 아파트 밀집지역. [연합]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올해 분양 실적이 예상에 못 미치고 있다. 연내 분양 예정물량 중 3분의 2에 해당하는 물량이 1~2분기에 집중됐으나, 상반기 부동산 경기둔화로 공급시장이 위축되면서 초기 분양실적이 저조함에 따라 계획물량을 크게 하회했다.

HDC그룹의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9월까지 전국 민영아파트(민간분양+민간임대) 분양 실적이 연간 공급목표의 44%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2분기 대비 3~4분기에 공급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연말까지 예정물량을 모두 공급한다 해도 올 한해 총 분양 실적은 20만가구 미만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부동산R114가 올해 전국 민영아파트 분양 실적을 조사한 결과 ▷1분기 2만8908가구 ▷2분기 3만4725가구 ▷3분기 4만9470가구다. 3분기까지 누계 분양실적이 11만3103가구로 지난해 말 조사한 연내 총 계획물량(25만8003가구, 월 미정 단지 포함)의 44% 수준이다. 3분기는 장마, 휴가철 등 통상 분양 비수기에 속하지만 올해는 1, 2분기 대비 공급량이 가장 많았다. 아파트값 회복세로 매수심리가 되살아나면서 상반기 이월된 단지들이 분양을 진행했고, 수도권 정비사업지와 지방 택지지구를 중심으로 공급되며 당초 3분기 계획물량(3만8697가구)보다 1만 가구 더 많이 공급됐다.

시도별 분양 실적을 살펴보면 전남과 제주는 이미 연간 계획물량 이상을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은 8~9월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공급물량으로 연내 예정물량을 초과 달성했고, 제주 지역도 7~8월에 692가구가 몰리며 분양 실적이 높았다. 반면 수도권은 3분기까지 연간 계획물량의 50% 내외로 공급됐으며, 누적 미분양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은 대구, 울산 등은 분양시장 냉기가 이어지며 공급 재개에 조심스러운 분위기다.

한편, 연말까지 약 8만여가구의 민영아파트가 추가로 분양될 예정이다. 1~3분기 분양 실적과 합치면 2023년 총 공급량은 20만 가구를 밑도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측된다. 2013년 20만281가구 이후 10년 만에 민영아파트 최저 물량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청약 훈풍에 힘입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연내 막바지 물량이 몰릴 수 있으나,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은 단지별 선별청약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어, 계획 물량을 차질없이 공급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