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르신 건강하세요”…경로 우대카드 대자 인사·심기 불편한 어르신들
지난 2월 6일 오후 서울 지하철 종로3가역에서 노인이 개찰구를 통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어르신 안녕하세요.”

지난 6월부터 서울 강남역, 광화문역 등 일부 지하철 역사 개찰구에서 65세 이상 경로 우대카드를 대면 나오던 친절한 음성 인사가 폐지 수순이다.

13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노인이 아닌 다른 가족이 경로 우대카드를 쓰는 부정 승차를 막기 위해 지난 6월 종로·강남·신도림·광화문·고속터미널 등 승하차 인원이 많은 10개 역에서 ‘어르신 건강하세요’ 안내 음성 서비스를 시범 도입했다. 3개월 가량 시범 운영해 본 뒤 모든 지하철 역으로 확대할 계획이었으나, 초반부터 '삐그덕' 댔다.

당사자인 65세 이상 연령층이 싫어라하기 때문이다.

요즘 65세 정도 나이는 노인으로 보지 않는 인식이 강한 데다 노인 무임 승차가 지하철 재정 적자의 원흉으로 몰리는 마당에 지하철을 탈 때 마다 “어르신 건강하세요”라고 멘트가 나오면 해당 승객으로선 민감한 나이 정보를 개찰구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다 광고하게 되는 셈이다.

이에 "공짜로 태워준다고 생색내느냐", "나이 들었다고 낙인찍는 기분" 등 불만이 쇄도했다.

이처럼 불쾌감을 토로하는 민원이 잇따르자 결국 서울교통공사는 안내 음성을 도입한 지 20일 만에 '어르신'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다.

비슷한 안내 음성을 도입한 대구 지하철 역시 마찬가지였다. 대구 지하철은 지난달 11일부터 해당 안내 음성을 내보냈다가 닷새 만에 중단하기로 했다.

서울교통공사는 해당 안내 음성을 도입한 뒤로 부정 승차가 50% 넘게 줄어들었다고 밝혔지만, 반발이 거세자 다른 안내 음성 공모에 들어갔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