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갈수록 비싸진다” 영어유치원 月124만원인데…4만 명 다닌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 없음.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영어 유치원으로 불리는 유아 대상 영어 학원의 교습비가 갈수록 늘어 월평균 124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 영어 유치원에 입학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레벨테스트 수준은 날이 갈수록 상승해 ‘7세 고시’라는 말도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11일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유아 대상 영어 학원의 월평균 교습비는 2021년 107만원, 2022년 115만4000원에서 올해(6월 기준) 123만9000원으로 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세종이 170만3000원으로 가장 높고 충남(145만9000원), 서울(144만1000원), 인천(142만60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하루 4시간 이상 주 5회 수업을 제공하는 학원을 기준으로 한 수치다. 교습비에는 재료비와 급식비, 차량비 등이 포함되지 않아 실제 부모가 부담하는 비용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서울 강남의 한 유아 대상 영어학원에 문의했더니 한국 나이 7세(만 5∼6세) 기준 한 달 교습비는 131만원이었고 재료비와 차량비, 급식비 등을 모두 합치면 총 168만원으로 늘어났다.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기보다는 놀면서 활동적으로 학습하는 이른바 '놀이식' 학원으로 알려진 이곳은 교구를 통한 수리력, 사이언스(과학), 조형 교구 과목 등을 가르친다고 안내했다.

또 다른 강남의 학원은 "2개월 교습비가 300만원대 초반이고 별도로 매달 식비, 재료비 등 30만원을 내야 한다"고 안내했다. 한 달에 200만원 가까이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이들 학원에 입학하려면 40만∼50만원대 입학비도 별도로 내야 한다.

특히 강남권에서는 영어 유치원 졸업 후 유명 초등 영어학원에 아이를 보내기 위한 '레벨테스트' 경쟁도 치열하다. 이른바 '빅5', '빅10'으로 꼽히는 초등생용 유명 영어학원의 예비초1 레벨테스트 난도는 갈수록 높아져 '7세 고시'란 말도 나온다.

저출산에 따른 학령 인구 감소에도 뜨거운 유아 사교육 열풍을 타고 유아 대상 영어 학원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6월 기준 유아 대상 영어 학원 수는 840곳으로 2018년(562곳)의 약 1.5배 수준이다. 서울(289곳)과 경기(221곳)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부산(73곳), 대구(41곳), 인천(33곳) 등이 뒤를 이었다.

유아 대상 영어 학원 원생 수는 올해 3월 말 기준 4만1486명으로 역시 서울(1만7193명)과 경기(1만756명) 지역이 절반을 훌쩍 넘어 67.4%에 달한다.

강 의원은 "유아 사교육 시장이 지나치게 팽창하면서 유아 시절부터 부모의 배경에 의한 교육 불평등이 유발되고 있다"며 "영유아에 대한 과잉교육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발달 과정에 맞게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