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전자 3분기 영업익 전년比 33.5%↑ 최대 실적…전장은 ‘연매출 10조’ 눈앞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 20조7139억·영업익 9967억원
영업익·매출 모두 역대 최고 수준 3분기 실적
B2B 확대 및 전장 사업 성장 호실적 견인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지난달 4일(현지시간) 오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3‘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LG전자가 10일 2023년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하고 매출액(연결기준) 20조 7139억 원, 영업이익 996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3분기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33.5% 늘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도 30% 이상 늘었다. 주력사업 가전과 미래 먹거리 전장(자동차부품)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면서 호실적을 견인했다. 경기둔화와 수요감소가 지속되는 여건 속에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는 평가다.

LG전자는 자동차부품, HVAC(냉난방공조) 등에서 기업간거래(B2B)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으로 좋은 실적을 낼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생활가전은 볼륨존 공략 및 시스템에어컨 등 냉난방공조를 앞세운 B2B 비중 확대가 컸다. LG전자는 북미, 유럽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친환경·고효율 수요에 대응해 히트펌프, ESS 등 냉난방공조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가전과 구독서비스를 결합해 3분기 출시한 업(UP)가전 2.0도 고객들의 좋은 반응을 이끌며 가전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평가다.

전장 사업은 연말 수주잔고가 10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적 공급망 관리를 기반으로 매출 규모가 확대되고 안정적 수익성을 확보하는 등 고속 성장의 기조를 이어갔다. 전장 사업은 올해 처음으로 연간 매출액이 10조 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 먹거리에서 LG전자의 주요 사업으로 순조로이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하된다. LG전자는 최근 헝가리 미슈콜츠에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의 네 번째 생산기지 구축 계획을 발표하는 등 글로벌 고객사들의 전기차 전환 수요 확대에 대응해 지역별 거점 생산기지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TV 사업은 수요 감소에도 효율적 운영으로 흑자 기조 및 수익성 개선을 이어갔다. 콘텐츠/서비스 사업이 의미 있는 성장을 거듭하며 제품 중심에서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사업 확장이 지속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 공급업체와 협업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최근 고객경험 확장을 위해 업계 최초로 TV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시작했다.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모수(母數)가 되는 웹(web)OS TV는 2026년 3억 대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비즈니스솔루션 사업은 IT 수요 둔화에 매출과 수익성이 다소 약화됐지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상업용 디스플레이와 폴더블 노트북 등 프리미엄 IT 라인업을 앞세워 고객경험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신성장동력 중 하나인 전기차 충전 사업도 빠르게 육성하고 있다.

한편, 조주완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7월 ▷B2B 영역 성장 ▷Non-HW(논-하드웨어) 사업모델 혁신 ▷신사업 동력 확보를 중점으로 가전을 넘어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워룸(War Room) 태스크를 앞세운 사업 체질개선 노력과 디지털전환 노력도 전 밸류체인의 효율 극대화를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